[춤밭을 일구는 사람들(74)]조재혁(한국무용가, 국립무용단 단원)
자유 영혼과 우주 신비 탐구하는 춤 시인으로 변신
고향 진도 서해리는 춤을 눈 뜨게 한 자연학습장
정승희 김현자 국수호에게 춤의 품격과 비법 체득
리얼리티 추구로 자연스럽고 깔끔한 구성과 독창성 빛나

조재혁(曺才赫)은 1978년 9월 7일 서울 안암동에서 그를 전폭적으로 지지하는 아버지 조규일(曺圭一)과 어머니 하영단(河永丹) 사이에 출생했다. 용암의 분출로 솟아오른 듯 열정의 춤꾼인 그는 '불의 사나이'에서 연마되어 선인의 춤을 추고 있다. 춤본에서 단련된 그는 이제 자유 영혼과 우주의 신비를 탐구하는 춤 시인이 되어간다.
유년의 추억, 형 진혁(眞赫)과 보낸 진도 서해리는 그의 춤 눈을 뜨게 한 자연학습장이었다. 바다는 기다림으로 인내를 가르쳐 주었고, 바람은 부드러움과 격정을 동시에 일깨워 주었다. 조재혁은 바닷내를 이은 인천 남부초등, 관교중, 인항고,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실기과 예술사, 전문사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 무용학과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이다.

조재혁은 적극적인 자세, 감사하는 마음, 긍정적인 자세로 매사에 임한다. 스승으로 정승희, 김현자, 국수호를 거치면서 춤의 품격과 비법을 체득하고, 춤의 진정성에 매료된다. 늘 그가 있는 춤 공연장은 믿음과 기대감이 밀려온다. 순종으로 일구어낸 춤밭의 진정한 춤꾼, 그의 종횡무진의 춤 행적은 그의 담대한 기록이자 미래의 소중한 국가의 문화 자산이다.
조재혁의 대표 출연작은 김현자의 춤-'그 물속의 불을 보다'(올해의 작품상, 안무상 수상작)―주역(2002), 윤성주 창작춤-'悲오이디푸스'-주역(2003), 정승희의 춤-'Images'-주역 (2003), 국립무용단 정기공연 '바다'-김현자 안무(2003), '비어있는 들'-김현자 안무(2003), '매화, 창에 어리다'-김현자 안무(2005), 국수호의 춤-춤극 '아! 고구려'-주역(2006), 'soul 해바라기'-배정혜 안무(2006, 2007, 2008), '춤, 춘향'-주역-배정혜 안무(2007, 2008), '사도 세자이야기'-주역-국수호 안무 (2007, 2012), 춤극 '가야'-주역-국수호 안무(2009), 국수호의 춤–'월인, 달의사람들'(2010, 2011), '명성황후'-주역-국수호 안무 (2010) 대한민국무용대상 대통령상수상작, 김승일의 춤-'사슴의 망울'-주역(2011), '우리 춤 모음'(2012), '그대 논개여'-주역-윤성주 안무(2012,2013), 60주년 특별기획공연 '도미부인'-주역(2012), '단'-안성수 안무(2013), '신들의 만찬'-주역-윤성주 안무(2013)에 걸쳐있다.

세종문화회관 특별기획공연 낙랑공주와 고구려 호동왕자의 슬픈 러브스토리를 모티브로 한 '낙랑공주'는 안무가 국수호의 안무 트루기를 닮아있는 춤극이다. 춤의 흥미를 돋우는 설화와 희로애락을 담은 이 춤은 우리 춤에 대한 외연을 확장시키고 조재혁이 우리 고전에 대한 탐구와 자료수집 분석에 집중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순수 시적 서정으로 엮은 2005신진예술가 선정작 '정화된 구름(purified cloud)'은 1장 '눈물', 2장 '아담과 이브', 3장 '앳어 스네일스 페이스', 4장 '정화된 구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니멀한 무대로 느림의 미학이 돋보이며 마지막에 김현자 선생의 생춤을 바탕으로 엑스타시즘이 절정을 이룬다. 자연과 인간이 하나 되는 순수의 시대를 창출해내는 안무력이 돋보인다.

동아무용페스티벌 초청작 '상상'은 우리가 현실과 이상에서 상상해낼 수 있는 것들을 춤으로 가정해 본 작품이며, 춤 작가 12인전 '신들의 정원'에서는 안무코디네이터로서 자신의 상상을 더욱 확산시키며 역량을 발휘한다. 금년 1월 17일, 18일 공연된 국립무용단 컬렉션 '이상증후군'에서의 조안무는 이상의 시적 상상력에 춤의 극적 상상력을 배가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그는 한국예술종합학교 기획공연. 흥겨운 한마당(2000, 미국 LA, 시카고), 한일고전예능제–일본 NHK방송(2001, 일본 도쿄), 베이징 무도 학원, 한국예술종합학교 합동공연(2002, 중국 베이징), 디딤 무용단 춤극 '고구려'(2006, 일본 오사카), 디딤무용단 춤극 '고구려'(2006, 캄보디아), 국립무용단 '코리아환타지'(2007, 중국 하얼빈), 국립무용단 '코리아환타지'(2007, 러시아 모스크바), 국립무용단 '코리아환타지'(2007, 터키이스탄불, 앙카라), 국립무용단 '코리아환타지'(2008, 태국 방콕), 국립무용단 '춤 춘향'(2009, 중국 홍콩), 국립무용단 '소울 해바라기'(2011,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국립무용단 '소울 해바라기'(2011, 벨기에 브뤼셀), 국립무용단 '코리아환타지'(2013, 독일 베를린), 국립무용단 '코리아환타지'(2013, 터키 아다나)의 해외공연 기록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