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혜, 대전시립무용단 예술감독이 임무를 마무리하며 보여준 『대전십무』는 대전 거점 주변 지역의 풍습, 설화, 인물, 환경, 풍광에 걸친 소재로 대전의 본색과 미래 춤의 향방을 가늠케 만들고, 최상위 춤 예술로 격상시킨다. 그녀가 예술감독으로 부임하면서 창안한 열편의 춤은 대전 춤의 빛깔과 향을 각인시켰고, 강력한 울림으로 우리 춤의 미적 규범을 제시하였다. 그녀의 춤은 ‘멀고도 가까운’ 거리의 춤으로 볼 만한 가치가 있는 춤으로 확증된다.
글로 형용할 수 없는 찰나적 예술의 가치, 장르간 유기적 순환이 만들어 내는 또 다른 공간의 아름다움이 내려앉은 열편의 작품들은 화두를 깨친 정은혜의 격정, 이면의 쓸쓸함, 흘러가는 시간에 대한 아쉬움이 깔려있다. ‘사이의 가치’를 인정하는 작품들은 소통을 몰고 오고, 곧 바로 감동과 격정의 바람을 불러 온다. 흠결 없는 공연은 정은혜의 존재와 안무작들을 당분간 볼 수 없다는 아쉬움으로 다가온다. 그녀의 체취가 남아있는 안무작 열편을 살펴본다.
『취금헌무』 (–박팽년과 여인들, 거문고 가락에 취하다): 거문고 가락 속에 선비로서의 박팽년, 사육신으로서의 박팽년의 지조와 숭고한 희생, 순천박씨 대 이음에 얽힌 여인들의 정한을 조화롭게 해석해낸 작품이다. 선비의 기개는 높고, 그를 기리는 향연(香煙)은 부각된다. 적색향로의 등장, 소복의 연인, 황토 빛 바닥이 상징하는 세월, 화평의 춤 속에 대나무가 배경 막에 뜬다. 마무리로 후손을 상징하는 아이 나타나며 향로는 사라진다. 우울한 현(絃)속의 각오의 춤, 희생이 예술로 승화된 한민족 정신을 대변하는 희생과 지조의 춤이다.
『대전 양반춤』 (-양반이요, 양반! 대전 양반이요!): 군무 확장의 일인자 정은혜가 벌이는 고품격 춤은 검정 갓끈과 저고리 끈, 하얀 도포 자락이 절묘한 색감 대비를 이루며 군무로 이루어진 한량춤의 깊이감을 느끼게 만든다. 전통 한량춤 바탕에 대전의 선비이야기를 더하여 풍자와 해학이 어우러진 양반춤으로 만든다. 칠인의 양반과 앉아서 책 읽는 양반 팔인이 벌이는 이 춤은 동참을 불러일으킬 정도의 ‘춤힘’과 품위로 시립무용단의 품위와 결부된다. 문화적 전통의 일부를 이루고 있는 이 춤은 양반의 예술적 동참과 형성자임을 보여준다.
『갑천, 그리움』 (-갑천의 전설이 한 폭의 수채화가 된다.): 감동의 쓰나미를 몰고 온 이 작품은 대전의 젖줄인 갑천의 전설을 한 폭의 수채화 같은 풍경과 서정으로 담아낸다. 피리가 인도한 그곳, 양반가의 여인, 등 · 퇴장 시의 놀라운 조명 테크닉, 그리움을 불러내는 정은혜의 독특한 방식은 아리게 슬픈 모습들로 나타난다. 감동이 일어나는 것은 그 얼굴에 고향이 비치기 때문이다. 하늘엔 반딧불이 날고, 여인들 그리움의 덩어리로 남는다. 여인 아홉, 무사 하나, 하얀 그리움을 남긴 채 무사는 떠나고, 갑천 그곳에 사랑이 있었다. 정은혜의 기본 춤 구상의 사심없는 구성과 모티브를 가늠케 하는 작품이다.
『바라춤』 (–정토를 부르는 상생과 해원의 춤): 장엄미사에 해당되는 엄숙함을 달고 시작된 이 춤은 백색 솔로가 강한 인상을 뿌린다. 느림의 미학과 강약의 완급을 조절하면서 이십 여명에 달하는 군무는 압도적 연기로 백년 역사의 수운교 공양의식 중 해원을 풀어낸다. 수운교 바라춤 원형을 바탕으로 새롭게 창작 구성된 이 춤은 진엄한 구음과 풍경 울음이 깊이를 더한다. 흔적 없이 소멸의 기운만 남기고 흩어지는 한국식 만다라 춤은 연꽃의 인상으로 남는다. 우리 춤의 지루함을 걷어내는 기술적 방법론을 제시한 작품이다.
『한밭북춤』(_science & drum 천문과학과 북(鼓,drum)의 만남.): 과학도시 대전의 이미지를 북놀음과 현대춤으로 융합시키는 흥겨운 판타지 <타고(打鼓) 퍼포먼스>는 희망의 입자들로 북의 대합주와 사운드와 빛의 순환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