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혜지 안무의 『낯선 곳』은 미지의 세상에 대한 두려움과 희망을 여성의 섬세한 감정과 시선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그래서 춤 동작들은 여름을 향해 잎과 뿌리를 튼실케하는 새싹이나, 날 준비를 마친 새들의 비상을 보는 듯한 기대감과 감정선에 몰입하게 만들었다. 완성과 숭고로 가고자하는 안무가의 몸짓에 연민의 정과 비정한 사회가 오버랩 된다.
안무가는 초등학교에서 대학원 졸업을 앞둔 지금까지의 삶에서 사회라는 낯선 곳으로 나가기 전의 상황을 표현한다. 익숙한 삶에서 새로운 곳으로 나아가는 발걸음을 단계의 상징으로 삼고 걸음들이 만들어 내는 이미지화에 집중한다. ‘자기 자신을 위한 춤’을 만들어야겠다는 의욕에 비해 춤은 ‘강한 임팩트’와 ‘춤깔의 양’이 부족함을 인정해야한다.
1장은 포텍 크니테비전의 빠른 템포의 급박한 느낌의 음악이 사용된다. 각자 앞으로 계속 나아가면서 반복되는 삶을 살아간다. 다른 사람을 의식하며, 급박하게……. 반복되는 삶 중간 중간 혼란이 오고, 지치기도 하지만 계속 어딘가로 향해 나아간다. 예술가는 지루한 반복을 통해서 화두를 깨우치는 것이다. 쉼 없이 새로운 출구를 모색하는 것도 예술가의 운명이다.
2장은 낮은 톤, 불안한 느낌의 루도비초 아이나우디의 음악으로 계속 어딘가로 나아가는 삶에 지침, 어디로 가야할지 주시, 발을 내딛으려 하지만 어디로 내딛어야 할지 모르겠음, 막막함, 앞이 보이지 않음, 나아가려하지만 마음이 불안함, 흔들림을 묘사한다. 누구나 체험했을 통과의례를 안무가는 심각하게 여기고 있다. 이 대목은 관객의 내면적 웃음을 유발한다.
3장은 임혜지의 독무, 낮고 잔잔한 분위기에서 음악의 톤이 높아지면서 상승하는 느낌으로 아이나우디의 음악 ‘흰 구름, Nuvole Bianche’이 미지의 세상에 대한 힘들고, 지치고, 혼란스럽고, 불안한 마음을 극복하고 안정을 찾고자하는 염원의 춤에 동조한다. 혼돈을 거쳐야만 질서가 오고, 어두움이 걷히고 밝은 아침이 온다. 어지러움 끝에 관음(觀音)이 온다.
4장은 그레이 뉴피의 음악으로 한발 한발 정성스럽게 낯선 곳으로 나아가며 활기차고 상승하는 느낌을 준다. 무용수 하나하나의 움직임이 흐름이 되고 어우러져 각자의 한 걸음이 다른 사람의 그 다음 걸음이 되면서 전진한다. 용기에서 초월이 온다. 불안은 자신을 이기는 데서부터 온다. 불안의 극복이 용기이다. 춤은 용기를 ‘부적’으로 삼고 싶어 한다.
임혜지는 국립전통예고, 성균관대 무용과,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체육교육과에 재학중이며, ‘임학선댄스위’ 정단원으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강사이다. 전형적 도제교육을 거쳐 임혜지는 오늘에 이른다. 고통을 겪지 않고 아름다움을 말할 수 없다. 낯선 곳에 대한 은근한 불안을 극복해내고자 하는 그녀의 데뷔작이 안무가로서 성장하는데 좋은 경험이 되었으면 한다.
임혜지, 미지의 안무가이다. 그녀의 꿈은 배우면서 완결의 비책을 꽤 하고는 것이다. 박물관이나 많은 다른 낯선 곳을 답사하고, 엄청난 독서량을 확보해야한다. 색채를 연구하고, 외로움과 고통을 느껴야 한다. 우리가 신인들에게 기대를 걸 수 있는 것은 그들의 한량없는 예술적 함량과 끈기로 미래를 밝히는 등불과 희망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