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인호, 김주빈이 풀어가는 현대무용은 닐스 프람(Nils Frahm)의 여러 곡을 믹싱하여, 놀이같은 독특한 형식과 방법론을 구사한다. 복면을 쓴 채 얼굴을 드러내지 않고, 무대에서 등장하며, 카메라 셔터를 계속 눌러대는 행위는 춤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든다. 오만과 과오처럼 비쳐지던 반복적 행위는 그 원인에 귀기울이다보면 긍정적 수긍의 몸짓임이 밝혀진다.
‘우리는 기억하고 있다. 행복한 기억, 슬픈 기억, 좌절하고 포기하고 싶었던 기억들, 돌아가고 싶은 순간에 대한 기억 등 다양한 기억들을 안고 산다. 그 기억에 대한 회상을 관객들과 공유한다.’ 무대의 전반부는 기본 조명을 깔고, 관객들과 분리되지 않고 오픈 형식으로 진행된다. 슬픔을 털고 자신을 드러내는 후반부조차 자신의 현실을 부끄러워하고 자신없어한다.
안무가가 보는 세상은 프레임 안에 담기는 피사체처럼 스쳐가고, 끊임없이 다른 시선과 부닥치게 된다. 머물 수 없는 예술가들의 슬픈 사연이 밝혀진다. 남의 입을 빌어서 자신을 투영시키는 영상은 즉각 효력을 발생하고 동시에 진행된다. 보다 밀도 높은 형이상학적 테제로 카타르시스를 꾀했던 김주빈은 그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빗겨나간 듯 한 느낌을 준다.
후반부에 김주빈은 서서히 자신의 모습을 드러낸다. 흐린 조명 속에서 드러난 그는 소통을 원한다. 조인호와 하나가 된 김주빈, 그들은 극기와 희망의 메시지를 띄운다. 섬세한 감성으로 접근한 이 작품은 보다 많은 춤 동작을 원하는 관객들을 놀라게 했다. 이런 류의 많은 작품들은 사연을 쌓아놓고, 결론부에 한방씩을 터트린다. 결론, 그는 정체불명이 아니다.
『삶은 계란』, 『더미』, 『더미 시리즈Ⅱ: 입, 출 (Input, Output)』, 『더미 시리즈Ⅲ: 間(간)』같은 안무작에서 자신의 개성을 보여주었던 김주빈은 문명의 이기와의 싸움에서 바보가 되기로 결심했다. 더욱 버려야 할 때, 그는 깨달을 것이다. 그가 뒤틀린 세상을 바로잡는 진정한 용기는 전위적 춤이 아니라 오직 춤의 기교가 빛나는 춤으로 정면 승부를 거는 일이다.
안무가이자 춤꾼인 김주빈은 ‘무용문화포럼’이 선정한 안무가시리즈, 두리춤터 테마가 있는 한국춤 시리즈 제10테마 ‘소극장춤으로 보는 한국춤의 흐름’, 임학선댄스위 창작무대 Creative Stage에서 이미 보여주었던 춤들보다 진정성 있는 작품들로 춤의 상부에 착지, 기존 춤판에 경종을 울려야 한다. 김주빈의 웃음이 있는 차기작을 기다려본다.
/장석용 춤비평가(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 회장)
안무가 : 김주빈
계원예술고등학교 졸업
성균관대학교 무용학과 졸업 및 동대학원 수료
임학선댄스위 정단원
수상경력
제 44회 동아무용콩쿨 한국무용 일반부 창작 금상.
제 50회 전국신인무용콩쿨 한국무용 일반부 창작 은상.
제 9회 서울국제무용콩쿨 Creative Ethnic Dance, Senior Male 3rd Prize.
제 42회 동아무용콩쿨 한국무용 일반부 창작 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