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민 안무의 『바른생활』
[글로벌이코노믹=장석용 춤비평가] 김동민, 그녀는 일렁이는 파도의 날개를 잡고 창공으로 솟아오르고 싶어 하는 춤꾼이다. 지독한 연습벌레로 그녀가 두리춤터 포이어 창작무대에서 보여준 『바른생활』은 백분율의 전부를 순수의 감정으로 채워 넣는다. 김동민, 박연정, 최윤정, 양한비, 최종인 다섯 여인이 써 내려간 춤은 의도했던 아이러니, 도덕 교과서와 같은 『바른생활』의 실체를 정면으로 드러낸다.
방랑예인들의 우울은 자연의 모방과 친화로 치유될 수 있지만, 떠나지 못하고 머무른 자들은 현상에 집착할 수밖에 없다. 처절한 고뇌 없는 진전은 존재하지 않는다. 들판의 서리, 굶주림에서 오는 두려움, 가보지 않은 길에 대한 공포를 극복하지 않고는 바른 판단의 기회를 갖지 못할 것이다. 춤 역사의 맥락에 대한 진지한 성찰 없는 순간의 비전은 환상이다.

김동민의 춤은 곱지만, 관객을 주도하고, 압도하며 오감을 자극하는 춤, 온실 수준을 뛰어넘는 거친 호흡의 춤, 시를 삭혀 철학적 토양을 이룬 야생의 춤이 필요하다. 그렇다고, 유행하며 시류에 맞춤 춤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다. 정묘하고 아름다운 독창적인 춤의 토대, 문사철을 염두에 둔 방대한 독서량과 춤의 깊이는 비례할 것이다.

원색으로 치장한 의상, 말총머리 헤어스타일, 미풍을 오가는 듯한 동작, 비슷한 느낌을 공유하는 여인들의 성격 묘사는 디지털 시대의 우화를 만드는 장치로 등장하지만 비정하고 자극적이고 섬뜩한 사회 현상을 포착해 주기를 바라는 관객들의 바램을 우회한다. 칸딘스키의 추상을 거부한 정물화적 풍경의 구상이다. ‘바른 생활’이다.
김동민은 제7회 서울국제무용콩쿠르 전통부문 시니어 여자 1등, 무용문화포럼이 선정한 안무가시리즈 무용수상을 수상한 춤계의 주목할 재원으로 『청춘블루스』, 『U감』, 『동화, 너를 담다』, 『안녕, 빠삐용』 등의 안무작을 선보인바 있다. 여성적 섬세함, 자신의 체험, 동화적 상상력으로 채운 주제적 양식과 춤체는 정전(正典)의 품계를 형성한다.
김동민, 그녀의 심중의 외침은 기대와는 달리 부드러움 속에 있다. 그녀는 거추장스런 수사보다 생활에 더 밀착된 주제를 선택, 차분하게 호소하는 여성적 호소력을 지닌 춤을 선보인다. 전형적, 고전적, 이미지, 비유, 도식으로 간택한 『바른생활』은 미지의 실체를 찾아가는 작업이 아니며, 열린 공간에서 상징과 간극을 허물고 ‘민낮’으로 고민하는 진정성을 보인 작품이다.

국립국악고등학교 졸업
성균관대학교 무용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임학선댄스위 정단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