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공연에서 선보인 작품은 『설레임』,『태평무』,『쟁강춤』,『내곁에 내 슬픔이』,『장고춤』,『손북춤』,『살풀이』,『부채춤』,『강강술래』 아홉 편이었다. 서른 미만의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대학원생을 포함한 무용수들은 젊은 패기와 자신이 맡은 역할을 조화로운 상상력으로 풀어낸 연기력으로 한국전통 ‘무용의 원형과 변주’의 깊이감과 미학적 접근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설레임』(출연/김서현,문서빈,박소희,용나경,장혜윤,정승은,김태희,임가현)은 모두 중고교생 춤꾼들이 선보인 창작무용이다. 봄을 캐는 사람들의 마음을 한 바구니에 가득 담은 화사하고 다양한 구성과 연출된 풍경은 춘심(춘심)을 가늠케 하는 장관이었다. 깜찍한 애교와 풋풋한 기교로 무장한 이들의 춤은 이날 춤의 서막을 열기에 충분했다. 의상과 소품도 인상적이었다.
『쟁강춤』(출연/이성영, 장한나, 전보경) 삼무사(三舞士)의 열연은 중고생들과의 수련의 정도와 깊이감을 차이 나게 하는 밝고 경쾌한 춤이었다. 빠른 템포에 맞춘 춤은 양손에 찬 방울(소리), 빨간 부채(비주얼)의 조화로운 만남으로 ‘무당춤’의 화려한 변신을 선보인 셈이다. 특히 주목할 점은 춤 연희자의 개성에 따라 춤의 내용과 질이 달라짐을 확인시켜주었다.
『내곁에 내 슬픔이』(출연/박태빈)는 출연자의 춤 기술을 과감하게 보여준 작품이다. 연기자는 청춘별리(靑春別離)의 정한을 때론 여리게, 때론 역동적으로 슬프고 격한 감정으로 풀어낸다. 김미숙의 비장의 무기는 스타급 춤 연기자를 발굴, 조련시킨다는 점이다. 이날 태빈의 독무는 좀 더 숙성하면 투박한 사랑의 질감을 보다 연화시킬 수 있겠다는 희망을 보여주었다.
『장고춤』(출연/박혜주, 배자연, 추예린)은 흥과 멋을 불러오는 대표 한국춤이다. ‘장고춤’은 구성과 순서가 너무나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조금만 실수가 노출되어도 금방 드러난다. 이 춤을 잘 추어낸 춤 연기자들의 노력이 가상하다. 이들의 춤은 많은 수사나 군더더기가 없고 깔끔하다. 이 춤이 단순한 흥 돋우기에서 탈피, 영적 비전에 이를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면 한다.
『손북춤』(출연/김주영,김예진,문한솔,손자희,이소망,정소영,조은비,황채은,성지윤,김서현,문서빈,박소희,용나경,정승은,임가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