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리뷰] 고현정 안무의 『코나투스; 존재의 힘』

『코나투스; 존재의 힘』은 인간의 의지로 인생의 짐을 극복하며, 그 짐도 가지고 가야 할 자아임을 인정하고 행복을 추구하는 내면의 모습을 아름답게 보여준다. 이 작품은 ‘모든 사물들은 현실적 본질로서 자신의 존재를 지속하려는 힘을 가진다.’는 스피노자의 생각, 자연이 치유해내는 궁극적 힘을 극기의 모델로 삼으며, 마라톤의 과정을 사계절의 인생에 빗대어 표현한다.
인간은 외부 환경에 굴복되고 자기 본성에 반하지 않는 한, 자기 존재를 보존하는 일을 도외시 하지 않는다. 이 작품은 이러한 존재를 보존하기 위해 사투하는 인간의 모습을 스피노자의 코나투스를 찾아가는 과정으로 보여준다. 인간은 코나투스를 통해 행동할 준비를 하는 것이 아니라 그 행동을 실천하여 자신의 본질을 증진시킨다.
스피노자는 코나투스의 완전한 표출을 행복으로 본다. ‘내일 지구의 종말이 온다 할지라도 나는 한그루의 사과나무를 심겠다.’ 무슨 일이 있더라도 자신의 갈 길을 끝까지 가겠다는 스피노자, 시간과 공간이 하나이므로 시작과 종말이라는 것 자체가 성립될 수 없는 그의 우주와 세계에서 인간은 끊임없이 자신의 코나투스를 찾는다.


지적이며 독창적인 『코나투스; 존재의 힘』은 1장; ‘Shuttle Run’, 2장; ‘Second Wind’, 3장; ‘45.195km’의 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간의 ‘삶과 마라톤’과의 절묘한 대비는 춤 철학자다운 고현정식 발상이다. 스피노자의 코나투스는 살고자 하는 욕구와 의지로써 윤리학·인간학적 의미로 사용될 때 자아를 보존하고, 발전시키며, 완성시키려는 욕구나 노력이다.
1장; ‘Shuttle Run’. 천천히 어렵지만 끊임없이 앞으로 나아가는 젊은이의 삶이다. 짧은 운동복, 운동화, 운동용 가방의 차림으로 고현정이 인생이란 마라톤을 시작하는 젊은 청춘을 대표한다. 봄을 타는 ‘사계’의 처음, 새들은 즐겁게 아침을 노래하고 시냇물은 부드럽게 속삭이며 흐른다. 따뜻한 햇살 아래 인생의 짐이 따라 다닌다. 고현정 외 여섯 명의 발레리나가 각자의 길을 가는 청춘들이다. 자신의 짐들이 버겁지만 버릴 수 없으니 가지고 갈 의지와 힘이 필요하다.
자신을 보존하려는 개체의 힘은 인간 본질의 의지, 충동 그리고 충동을 의식하는 욕망의 다양한 모습으로 드러난다. 이러한 모습의 본성으로부터 자신의 보존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인간의 모든 추구의 근저에 있는 동기를 부여하는 힘인 코나투스를 찾는 과정을 거친다. 방법론은 사고의 유연성과 긍정적 인생관이다. 긍정적 사고는 수면 중에도 연속이다.


2장; ‘Second Wind’. 환희, 좌절, 고통, 슬픔 등의 많은 감정들을 겪고 살아오다 어느 순간 찾아오는, 마치 마라톤의 고통을 극복하고 사점 이후 새롭게 느껴지는 것과 같은 변화와 젊은이들의 삶, 서늘한 바람이 불어오면 뜨거운 태양아래 지친 몸을 쉬게 할 잠을 청해 본다. 느닷없는 폭풍우가 휘몰아치고 움직임은 숨이 턱까지 차오르며 사점에 다가간다.
인생에서 좌절된 의지는 슬픔과 두려움을 느끼게 한다. 두려움은 허상의 두려움과 실제로 다가와 있는 두려움이 있다. 이 장은 두려움을 극복하려는 인간의 강한 의지, 허상의 두려움을 마라톤의 사점에 다다를 때까지의 힘겨움과 도달한 그 순간의 몽롱한 허상의 이미지를 보여준다. 코나투스는 증가되고 감소될 수 있는 역동적 힘으로써 자신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폭풍의 강렬한 움직임으로 ‘내면의 강한 의지’의 군무가 시작된다. 다양한 템포와 강한 움직임으로 힘의 의지인 코나투스에 다가가는 자아를 보여주고 사점에 도달하여 한 단계를 넘어서기 전 허상을 경험한다. 황홀한 무용수의 움직임이 주가 되어 환경 온도는 높아지며 평형 상태가 성립된다. 호흡 곤란이 점차적으로 해소되며 Second Wind를 경험한다.


인간의 본질은 스피노자의 ‘코나투스’ 노력의 힘을 의지로 보고 이를 통해 자아를 찾아가고, 나아가 타인을 이해하며 행복을 느낀다. 고현정의 자신의 의지와 건강한 욕망을 투사한 『코나투스; 존재의 힘』은 독창적 상상력, 주제에 밀착되는 뛰어난 기교, 촘촘히 짜인 두드러진 구성의 묘, 무대 공간의 분할과 효율적 조명 배치로 현대발레의 건강성을 보여준 수작이다.
■ 고현정 약력
이화여자 대학교 무용과 졸업 (무용학사)
이화여자 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졸업 (교육학석사)
영국 브루넬대학교 예술대학 공연예술학과(철학박사)
장석용 글로벌이코노믹 문화전문위원(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