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리뷰] 신인안무가 이한울의 『동행, With You』

이한울 안무의 『동행』은 가슴 따뜻한 사랑의 약속을 표현한다. ‘검은 머리 파뿌리 되도록’, ‘우리 평생 이 길을 함께 걸어가오.’에 어울리는 코믹한 장면이 연출된다. 노인 역을 맡은 이한울, 김효준 2인무는 자신의 개성을 담아 춤의 예술성 극대화나 오락 지성주의를 우회하여 ‘풀이’ 형식으로 웃음을 선사한다.
1장 ‘동행’, 2장 ‘회상’, 3장 ‘우리만의 블루스’, 4장 ‘동행’의 4장으로 구성된 『동행』은 시대극의 풍자를 따라가며 허름한 서민 의상에 빨간 양말이 상징하듯이 별 욕심 없이 세상을 살아가고 나이가 든 후에 회상했을 때 후회 없는 삶을 살아왔음을 자랑스럽게 여기리라는 각오가 담겨있다. 젊은이들이 풀어내는 회상 장면은 익살의 극치를 보여준다.


2장 ‘회상’; 남자 무용수의 대사로 시작된다. 댄스스포츠 ‘차차차’로 만나게 된 흐린 시절의 추억, 객석에서 관객을 데려와 의자에 앉힌 후 손자에게 이야기 하는 형식의 옛 추억의 장이다. 할머니는 할아버지의 회상 속 젊은 시절의 여인이 되어 춤을 춘다. 첫 만남의 ‘차차차’, 회상 속 여인은 할아버지에게 차차차 스텝을 조심스레 알려준다.
3장 ‘우리만의 블루스’; 회상 속 여인은 할머니로 돌아오고, ‘차차차’는 한국적 춤사위로 이루어진 노부부만의 블루스가 된다. 노부부는 마주보며 신명나게 춤을 춘다. 춤이 끝난 후 허리를 곧게 펴는 장면은 마음만은 젊고 열정적임을, 뒤돌아 걸어 들어가는 마지막 장면에서 허리 굽힘 동작은 그 열정과 사랑으로 평생을 함께 걸어가자는 것을 의미한다.
4장 ‘동행’; 열정으로, 사랑으로 평생 같은 곳을 향해 길을 함께 걸어가자는 각오가 담긴 장이다. 신명난 춤사위가 끝난 후 서로를 마주보며 웃는다. 그들은 뒤돌아 두 손을 마주잡고 천천히 함께 걸어간다. 3장과 4장에 걸쳐 장구, 소리, 신디에 이르는 김용우 편곡 및 라이브 ‘아니 노지는 못하리라’가 분위기를 주도한다.


『동행』은 겉절이 같은 풋풋함과 신선한 창의력이 깃들어 있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동명의 제목이 많아서 유감이고 보다 촘촘한 짜임새로 거침을 연화시키고, 상징들을 침화시키는 노력이 깃들어 있어야했다. 담대한 패기와 용기로 현실에로의 안주보다는 거친 춤판의 승자가 되겠다는 의지가 담긴 작품이 되었어야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장석용 글로벌이코노믹 문화전문위원(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