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 상식] 강수량과 강우량의 차이는? 매시강수량 일강수량 최대강수량 강우량 지역우량 기상청 날씨예보 개념 총정리](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allidxmake.php?idx=5&simg=201607050815282877679_20160705082019_01.jpg)
(amount of precipitation) 비나 눈, 우박 등과 같이 구름으로부터 땅에 떨어져 내린 강수의 양을 말한다. 어느 기간 동안에 내린 강수가 땅 위를 흘러가거나 스며들지 않고, 땅 표면에 괴어 있다는 가정 아래 그 괸 물의 깊이를 측정한다. 눈·싸락눈 등 강수가 얼음인 경우에는 이것을 녹인 물의 깊이를 측정한다. 비의 경우에는 우량 또는 강우량이라고도 하며, 단위는 ㎜로 표시한다.
매시강수량
(hourly precipitation) 매시간 비 또는 눈이 내린 양을 말한다.
일강수량
(daily precipitation) 하루 동안에 내린 강수량을 말한다. 즉, 강수가 없는 시간도 포함하여 연속되는 24시간 안의 총강수량을 가리킨다. 보통 00∼24시 동안에 내린 양을 일합계로 하지만, 09시 또는 21시를 하루의 경계로 할 때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그날 09시부터 다음날 09시까지, 또는 전날 21시부터 그날 21시까지를 하루로 한다는 것을 분명하게 밝혀야 한다.
최다강수량
(maximum precipitation) 일정 시간 또는 기간 동안 내린 강수량 중 최다값을 말한다. 일최다강수량, 1시간최다강수량, 10분간최다강수량이 있으며, 월별·연별로 통계 관리한다. 일정 시간 또는 기간 동안 내린 강수량 중 최다값을 말한다. 일최다강수량, 1시간최다강수량, 10분간최다강수량이 있으며, 월별·연별로 통계 관리한다.
강우량
(rainfall) 순수하게 비만 내린 것을 측정한 값을 말한다.
지역우량
(areal rainfall) 강우량을 하천의 유역 등에 대해 평균한 양으로 지역우량이라고도 한다. 보통 ㎜로 나타내지만 비의 평균 깊이에 유역의 면적을 곱하여 빗물의 부피를 구하고, 이를 톤(t)으로 표시할 때도 있다. 면적강우량을 구하려면 유역 내에 많은 우량계를 배치하고, 그 우량계에서 얻어진 우량을 평균한다. 면적강우량의 산정 방법에는 산술평균법·티센(Thissen)법·등강우량선법 등이 있다. 면적강우량은 하천의 유량과 댐으로 흘러드는 수량을 파악하는 데에 유용하다
김윤식 기자 tiger8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