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석(李康石, Kang Seok Lee)은 자중하고 정도를 지향하는 묵직한 춤꾼이다. 충만한 용기와 열정을 지진 현대무용의 바람직한 춤꾼으로 자신의 목표를 이룰 성공 인자를 타고났다. 고사리처럼 신비롭게 자신의 영역을 구축하고 있는 그는 이 세상의 모든 비밀을 자신의 촉수에 말아 올리고 춤의 심도를 높이고자 한다. ‘흩어지면 죽는다.’는 것을 일찍 터득한 셈이다.
무용하는 친 누나 권유로 춤 시작
춤 디테일 황당할 만큼 완벽 추구
자신의 예술 가치관 작품에 담아
누나와 친하게 지냈기에 무용을 하는 친 누나의 권유로 ‘하루만 해볼까?’라는 마음에서 시작한 무용, 강석은 운동신경이 좋아 못하는 운동이 없다는 소리를 들어왔다. 그는 무용 잘한다는 소리를 좀처럼 들어보지 못해서 오기로 춤을 지속했지만 아직 칭찬받는 일은 드물다. 대전 괴정고 시절 무용학원의 정 숙 선생에게서 배운 춤은 최성옥 교수의 조련으로 정제된다.
이강석의 가장 큰 장점은 바른 정신 상태이다. 강석은 자신이 예술가라는 것을 상기하고 작품을 창작한다. 그는 타인의 취향과 의례적인 말에 신경 쓰지 않고, 자신의 예술이 무엇이고 가치관은 무엇인지를 생각하고 작품을 만든다. 강석은 그렇게 자신의 커리어를 만들어 가면서 예술가라면 자신이 왜 만들고자 하는지 무엇을 느끼는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강석은 춤 작업을 하면서 디테일에 황당할 정도로 완벽을 추구하거나 충실하다. 일상생활에는 부재하지만 안무작업을 수용할 때는 무용수들을 힘들게 하는 어처구니없는 디테일을 너무 많이 요구하는 편이다. 무용수에게 ‘애매하게 해’와 ‘확신 없는 척 해’ 라고 지시하면서 그 의미가 다르다고 한 동작의 느낌을 부여하기 위해 한 시간 이상 붙잡고 있는 것 등이다.
이강석에겐 ‘슬럼프’나 ‘유쾌’란 단어는 있을 수 없다. 있어서도 안 된다. 오로지 한 분의 스승으로도 세상의 이치를 깨달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가 존경하는 스승은 충남대 무용과 최성옥 교수이다. 그는 가르침대로 음악을 많이 듣는다. 악기의 화성을 들으면서 무대를 떠올린다. 강석은 예술과는 또 다르게 자신의 노력만큼 결실을 나타낼 수 있는 스포츠도 좋아한다.
이강석의 첫 안무작은 여덟 명의 남자무용수들이 출연하는 『틀』(2015)이다. 사람들은 내면의 소리를 내지 못한 채 세상이란 틀 안에 갇혀 불행한 삶을 살고 있을 수 있다. 불행한 틀 안의 삶의 근본이 자신의 선택에 기인한 것을 모르는 사람들의 모습을 나타낸다. 『치마』(2015)는 『틀』과 반대 이미지로 세 명의 여자무용수를 등장시켜 색감과 시각화에 집중한 작품이다. 안무의도는 자유를 향유하고자 하는 본능과 욕망, 처해진 환경에서 적응하고 살아가는 것, 성별•시대에 따라 갖추어지는 문화와 관습, 그것에 의해 개개인의 자아 정체성과 본능이 형성되며, 그것을 표현하는 것이 자유임을 밝힌다. 개인이 자유를 누리지 못하고 문화적 혹은 관습적 억압에 의해 인권이 침해 받는 모습을 시각적 이미지로 나타낸 작품이다.
스승 가르침대로 음악 많이 들어
악기 통해 창조적 상상력 키워
'틀' '치마' '회색인간' 등 안무
강석의 세 번 째 안무작은 『회색인간』이다. 두 남자 무용수의 이인무로 급변하는 현대에 함몰되어 인간 감정이 무뎌지면서 저마다의 색을 잃고 잿빛으로 변해서 악화도 없고 양화도 없는 상태를 나타낸다. 표정이 없는 흰 가면을 쓰고 작품이 전개된다. 『초식동물』(2017)은 약육강식의 인간의 삶을 다룬다. 밀림에서 육식동물이 초식동물을 사냥해서 뜯어 먹는 것이 인간 사회와 다름이 없음을 밝힌다. 소수 권력자를 제외하고, 눈치보고 도망가고, 살기위해서 달려야 한다면 인간의 삶도 초식동물의 삶과 다를 바 없다. 『자유의지』(2017)는 종교론, 기술론, 인간론의 영역까지 다루면서 ‘자유의 의지’를 존중하는 태도를 취한다.
이강석은 충남대 무용과를 거쳐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메타댄스프로젝트 단원이다. 모리스 베자르 발레단(Maurice Béjart Ballet Company) 객원(2011, 대전 예술의전당 기획공연), 소피아 데리다 댄스컴퍼니(Sofia Derrida Dance Company) 객원(2012, 불가리아)을 거쳐, 중유럽 댄스컴퍼니(Central European Dance Company)의 객원(2017, 헝가리)무용수로 예정되어 있다.
앞으로 자신이 짠 작품 제목이 대명사가 되는 날을 기다리는 이강석은 제18회 마라카이보 국제무용제에 『Gray』(2016, 베네수엘라) 초청, 대구국제무용제 『틀』(2016) 초청, SCF 서울국제안무페스티벌에 『틀』 선정, ‘제48회 춤빛(The 48th Danzaluz) 정기공연’(2017, 베네수엘라)에 안무 의뢰가 들어오는 등 국제 스타가 될 교차점에 서 있다. 행운이 따를 것이다.
이강석은 춤 창작을 위해서라면 보통 인간의 눈으로는 감지할 수 없지만 보이는 물질에는 중력을 가한다. 자신의 불확실성에 조용히 침잠하면서 창조적 상상력의 무의식, 은둔 같은 침묵을 위한 은유적 수사를 받아들인다. 또한 자신의 에너지를 전달할 곳을 찾아 방랑하면서 자신을 부셔서 온전함을 얻고자 한다. 모두가 개인의 발전을 축하해줄 여유가 있는 사회가 되었으면 한다.
장석용(글로벌이코노믹 문화전문위원, 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