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2D 영화 일반 시간대를 기준으로 영화 관람료는 주중 1만 3000원, 주말 1만 4000원으로 조정된다. 3D를 비롯한 IMAX, 4DX, ScreenX 등 기술 특별관‧스윗박스의 티켓 가격도 1000원씩 일괄 인상된다. 장애인이나 국가 유공자에 적용되는 우대 요금은 인상 없이 기존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2019년 기준으로 한국 영화산업 구조는 전체 매출의 76%가 극장 관람료 매출에서 발생했다. 극장 관람료의 50% 이상이 영화 배급‧투자·제작사에 배분되는 점을 고려할 때, 지금은 영화산업 전체의 붕괴로 이어질 수도 있는 절박한 상황이다.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과 비교했을 때 2020년 관객 수는 73.7% 줄어 6000만 명에도 이르지 못했다. 올해 들어서도 코로나19 3차 유행 여파가 지속해 1~2월 누적 관객 수는 2019년 대비 87.9% 감소했다.
이는 고스란히 한국 영화산업 생태계 전반의 위기로 돌아오고 있다. 코로나19로 관객이 급감하면서 배급사들은 기대작 개봉을 연기하고, 극장 개봉을 포기한 채 OTT로 직행하는 사례도 늘었다.
제작이 완료된 영화조차 개봉이 미뤄지다 보니 신규 제작 역시 줄줄이 중단되고, 영화가 개봉해야 일감을 얻을 수 있는 영화 홍보 마케팅업계 역시 극심한 불황에 시달리고 있다.
매출이 급감하면서 적자를 이기지 못하고 문을 닫는 영화 관련 업체들이 늘고 있으며 종사자들도 속속 업계를 떠나는 추세다.
CGV는 지난해 국내 매출 3258억 원에 영업손실이 2036억 원에 이르러 창사 이래 가장 어려운 한 해를 보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희망퇴직을 실시하고, 일부 직영점의 일시 영업 중단, 자율 무급 휴직 등 필사적인 자구노력을 시행하고 있지만 적자 기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는 관객 감소에도 불구하고 극장이 부담해야 하는 임차료와 관리비 등 고정비를 줄이기 힘들고, 안전한 관람을 위한 방역비 부담도 커졌기 때문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이처럼 적자가 지속되는 상황 속에서도 CGV는 영화 개봉이 이뤄져야 영화산업 전체가 생존할 수 있다는 판단으로 재정적 부담을 감수하고 지난 2월부터 상영부금 외에 관객당 1000원의 개봉 지원금을 배급사에 추가로 지급하고 있다.
CGV 관계자는 “개봉 지원금까지 더해져 회사 적자는 더욱 쌓이며 경영 부담도 커지고 있다. 지금과 같은 어려움이 계속되면 개봉 지원금을 추가로 지급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CGV는 이번 영화 관람료 인상으로 신작 개봉을 촉진하기 위한 지원금 지급을 당분간 이어가기로 했다. 내부적으로는 뼈를 깎는 사업 개편과 비용 절감 노력을 기해 생존 기반 마련에 주력할 방침이다.
한편 롯데시네마와 메가박스 관계자는 영화 관람료에 대해 "결정된바 없다"고 알려왔다.
손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injizzang@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