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프라인 매장의 강점과 유통 노하우 집약…그로서리 매장 확대 및 특화존 운

제타플렉스 서울역점은 지난 2021년 12월에 오픈한 제타플렉스 잠실의 성공을 기반으로 두번째로 선보이는 제타플렉스 매장이다. 제타플렉스 잠실점은 ‘여기에 없으면 어디에도 없다’라는 콘셉트로 일반 매장과 비교해 30% 이상 많은 품목수, 계절감이 풍부한 신선 매장, 메가 와인숍 보틀벙커를 비롯한 다양한 상품군별 전문 매장으로 구성, 서울의 강남 상권을 대표하는 롯데마트의 미래형 매장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에 서울의 관문이자 중심지에 위치한 롯데마트 서울역점을 유통 노하우와 전문성을 집약한 미래형 매장 제타플렉스로 새롭게 선보임으로써 강북 상권의 랜드마크가 되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서울역점은 외국인 매출 비중이 올해 누계 기준 약 30%, 펜데믹 이전에는 50% 수준에 달했던 매장인 만큼 외국인 고객에게도 사랑받는 한국의 대표 브랜드로 거듭날 수 있도록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모든 가치를 집결시켰다.
제타플렉스 서울역점은 오프라인 대형마트의 강점인 그로서리 전문 매장으로의 전환과 더불어 ‘와인’, ‘펫’, ‘완구’ 등의 전문 매장을 필두로 한 체험형 콘텐츠의 강화, 그리고 고객 맞춤형의 공간 및 상품 재구성을 주제로 리뉴얼을 진행했다.
먼저, 매장 2층 면적의 85%를 그로서리 매장으로 구성, 리뉴얼 이전과 비교해 그로서리 매장의 규모를 25% 가량 늘렸다. 기존 3748㎡(1134평)이었던 그로서리 매장을 1078㎡(326평) 더 늘려 4826㎡(1460평)로 확대한 것으로, 식품과 비식품 매장의 규모를 7대 3으로 구성한 롯데마트의 일반 매장과 비교해 많은 공간을 그로서리 매장에 할애했다. 늘어난 그로서리 매장은 일반 대형마트보다 30% 가량 많은 품목을 취급한다.
신선 매장은 전국대비 높은 수준의 중구, 용산구 상권을 고려해 프리미엄과 친환경 상품의 구색을 확대했다. 축산 매장은 습식 숙성 전용 쇼케이스를 설치, 매장에서 습식 저온 숙성을 거친 숙성 한우를 판매하고, 순혈 와규 상위 0.5%의 ‘풀 플러드 와규’ 품종까지 취급해 프리미엄 육류의 선택지를 늘렸다. 수산 매장은 ‘라이브 씨푸드’ 존을 새롭게 운영해 1년 내내 살아있는 전복과 크랩류(랍스터, 킹크랩, 대게)를 만나볼 수 있으며, 친환경 수산물도 다양하게 선보인다.
델리 매장에서는 10월초 롯데마트의 자체 베이커리 브랜드 ‘풍미소’를 오픈해, 롯데마트에서만 맛볼 수 있는 시그니처 상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더불어 외국인 고객과 주변 상가 오피스 고객 매장 방문 빈도가 높은 특성을 고려해
이와 더불어 제타플렉스 서울역점은 일반 고객 외에도 외국인 고객과 주변 상가와 오피스에서 근무하는 고객의 매장 방문 빈도가 높은 특성을 고려해, 즉석 조리 매장의 ‘요리하다 도시락 특화존’과 가공 식품 매장의 ‘외국인 고객 특화존’ 등을 꾸렸다. 도시락 특화존은 극 가성비 도시락부터 프리미엄 정찬 도시락까지 약 70여종의 도시락 상품을 만나볼 수 있다. 외국인 고객 특화존은 외국인 구매 빈도가 높은 인기 상품을 모았다.
전문매장에도 힘을 줬다. 매장의 3층에는 ‘보틀벙커’ 4호점을 오픈해 와인 토탈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매장 초입 큐레이션존은 ‘시즈널’, ‘푸드페어링’, ‘모먼트’의 3가지 테마의 큐레이션을 유지하되, 4000여 종이 넘는 와인 중에서 태블릿 PC를 활용한 문답을 통해 취향에 맞는 상품을 찾는 ‘와인 네비게이션’이라는 테마를 추가해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
이외에도 완구 전문매장 ‘토이저러스’, 펫팸족을 위한 ‘콜리올리’와 H&B 전문매장 ‘롭스플러스’도 선보인다. 특히 롭스플러스는 K뷰티 상품을 대폭 강화해 외국인 고객들의 니즈를 충족한다는 계획이다.
강성현 롯데마트·슈퍼 대표이사는 “제타플렉스 2호점 서울역점은 대한민국의 관문인 서울역에 위치한 만큼 국내외 고객 모두에게 롯데마트가 추구하는 미래형 매장을 보여주는 중요한 공간”이라며, “회사의 역량을 집약한 만큼 국내외 고객의 모두에게 최상의 쇼핑 경험을 제공해 서울 강북권을 넘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랜드마크’로 거듭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송수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sy1216@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