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매운 맛’ 전성시대…라면업계, 새봄 맞아 매운맛 레이스 ‘시작’

글로벌이코노믹

‘매운 맛’ 전성시대…라면업계, 새봄 맞아 매운맛 레이스 ‘시작’

왼쪽부터 농심 배홍동쫄쫄면 챌린지에디션, 팔도 틈새 스쿨푸드 협업 메뉴, 삼양스퀘어라운드 스페셜 컬래버레이션 패키지 ‘스프링 에디션, 하림 더미식 장인라면 맵싸한맛  /사진=농심,  팔도, 삼양라운드스퀘어, 하림이미지 확대보기
왼쪽부터 농심 배홍동쫄쫄면 챌린지에디션, 팔도 틈새 스쿨푸드 협업 메뉴, 삼양스퀘어라운드 스페셜 컬래버레이션 패키지 ‘스프링 에디션, 하림 더미식 장인라면 맵싸한맛 /사진=농심, 팔도, 삼양라운드스퀘어, 하림
나른하고 입맛이 없어지는 봄이 시작되면서 국내 식품업계가 각기 다른 개성과 취향으로 식욕을 돋우고 있다. 특히 정신을 번쩍 들게 하는 매운 맛 경쟁이 뜨겁게 달아올랐다.

먹방 유투버나 유명 인플루언서들의 ‘맵부심’이나 ‘매운맛 챌린지’ 등의 영상이 SNS에서 큰 인기를 끌면서 식품업계도 덩달아 매운 맛 경쟁에 불이 붙은 것으로 해석된다.

이런 트렌드에 따라 매운맛 국물라면 시장은 2021년 1905억원에서 2023년 2076억원으로 2년 새 7% 빠르게 성장했다. 2022년 매운맛 국물라면은 7160억원 규모의 전체 국물라면 시장에서 2680억원을 차지하며 매운 맛 입지를 단단히 굳혔다.

매운 맛 열풍은 국내만이 아니다. 2021년 유럽 시장에 이어 2022년 미국 스페셜티식품협회(SFA)에서 식품 트렌드로 선정할 만큼 매운맛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이렇게 매운 제품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식품업계는 한층 더 매운 맛을 강화한 맞춤 상품과 색다른 콘셉트의 프로모션 등을 선보이며 시장에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28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농심은 기존 배홍동쫄쫄면보다 3배 매운 비빔면 신제품 ‘배홍동쫄쫄면 챌린지에디션’을 한정판으로 출시했다.

매운 맛 챌린지 콘셉트로 선보인 ‘배홍동쫄쫄면 챌린지에디션’은 하늘초를 활용한 강렬한 매운맛에 배홍동의 정체성인 배, 홍고추, 동치미의 새콤달콤한 맛을 더한 것이 특징으로, 첫 입부터 화끈하게 매운맛으로 입맛을 사로잡는다.

‘불닭볶음면’을 전세계 인기 브랜드로 끌어올린 삼양라운드스퀘어도 한국의 매운 맛을 좋아하는 외국인 관광객, MZ세대 등에게 K-라면의 색다른 경험을 제공하고자 조선호텔앤리조트의 부티크 호텔 레스케이프와 손잡고 ‘맵탱’을 활용한 컬래버레이션 패키지 ‘스프링 에디션: 두 잇 나우’를 선보였다.

메뉴는 기존 라면의 얼큰하게 매운 맛에 닭 육수 및 문어, 대하, 주꾸미, 전복 등 해산물을 더해 한층 더 깊고 진한 맛을 강조했다.

팔도 틈새라면은 분식 프랜차이즈 스쿨푸드와 협업해 ‘틈새 시리즈’ 한정 메뉴 2종을 선보였다. 이번 한정 메뉴 2종은 △틈새 모짜렐라 스팸 계란 마리와 △틈새 까르보나라 파스타 떡볶이로 전국 스쿨푸드 매장에서 만나볼 수 있다.

틈새 모짜렐라 스팸 계란 마리는 스쿨푸드 판매율 1위의 대표 메뉴인 마리와 팔도의 틈새소스가 만나 탄생했다. 스쿨푸드의 마리의 장점이 모짜렐라 치즈와 계란 지단, 스팸과 짱아치로 구현한 맛과 한입에 먹을 수 있는 크기였다면 이번 틈새 모짜렐라 스팸 계란 마리는 매콤함까지 더했다.

하림은 매운맛 라면의 신흥강자로 우뚝 설 더미식(The미식) 장인라면 ‘맵싸한 맛’을 새롭게 출시했다. 더미식(The미식) 장인라면 ‘맵싸한 맛’은 부트졸로키아, 하바네로, 청양고추, 베트남고추 등 매운 고추의 대명사라 불리는 세계 4대 고추를 활용해 차원이 다른 새로운 매운 맛을 구현했다.


조용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ycch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