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이러다 다 죽어”…쿠팡, 3조원 물류투자 접나

공유
0

“이러다 다 죽어”…쿠팡, 3조원 물류투자 접나

공정위, 쿠팡에 위계행위 책임 물어 1400억원 과징금 부과
쿠팡, 소비자 불편 초래…부산 첨단물류센터 기공식 취소

쿠팡과 공정거래의원회가 직매입 및 자체 브랜드(PB) 상품을 두고 첨예한 대립을 보이고 있다. / 사진=쿠팡앱 캡처이미지 확대보기
쿠팡과 공정거래의원회가 직매입 및 자체 브랜드(PB) 상품을 두고 첨예한 대립을 보이고 있다. / 사진=쿠팡앱 캡처
결국 피해자는 소비자다.

쿠팡과 공정거래의원회가 첨예한 대립을 보이고 있다. 둘은 직매입 및 자체 브랜드(PB) 상품을 두고 날을 세웠다. 공정위가 칼을 빼들었다. 16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지난 13일 PB상품 부당 우대 의혹을 받는 쿠팡에 1400억원대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또 쿠팡과 CPLB(PB상품 전담 납품 자회사)의 위계에 의한 고객 유인 행위에 대해 시정명령과 함께 검찰에 고발하기로 했다.
쿠팡도 목소리를 높였다. 행정소송을 통해 법원에서 부당함을 적극 소명할 것이라고 했다. 나아가 공정위가 쿠팡의 로켓배송 상품 추천을 금지한다면 더 이상 로켓배송 서비스는 불가능하다고 토로했다. 불편과 피해는 소비자 몫이 되는 것이다.

이번 사태에 대해 공정위 주장은 이렇다. 쿠팡은 검색순위 산정 기준을 설정·운영하고 상품거래를 중개하는 플랫폼이자, 자기 상품의 판매자로서 이중적 지위를 가진다. 이러한 이중적 지위로부터 자기 상품 판매와 입점업체의 중개상품 판매에 있어 이해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놓여있다.

쿠팡은 상품 검색순위인 ‘쿠팡랭킹’과 관련해 기본적으로 판매량, 구매후기 수, 평균 별점 등 실제 소비자들의 반응을 중요하게 반영해 검색순위를 산정하도록 알고리즘을 설계·운영하고 있다. 상품거래 중개 사업을 도입한 2015년 당시 쿠팡은 “판매량 등의 객관적 데이터로 상품 검색순위를 제공할 계획”을 밝혔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도 검색순위가 높으면 해당 상품이 판매량, 구매후기 등이 우수한 것으로 인식하며, 검색순위는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공정위는 “이러한 상황에서 쿠팡과 CPLB는 자기 상품의 판매를 늘리기 위해 검색순위 알고리즘 조작 및 임직원의 구매후기 작성과 높은 별점 부여를 통해 쿠팡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고 있는 21만개 입점업체의 4억개 이상 중개상품보다 자기 상품만을 검색순위 상위에 올리는 위계행위를 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소비자들은 쿠팡의 상품이 입점업체의 상품보다 더 우수한 상품이라고 오인하여 쿠팡의 상품을 구매 선택하게 되는 등 쿠팡과 거래하도록 유인됐다”고 설명했다.
쿠팡은 이날 공정위 조치에 적극 반박했다. 쿠팡은 “전세계 유례없이 ‘상품진열’을 문제삼아 지난해 국내 500대 기업 과징금 총액의 절반을 훌쩍 넘는 과도한 과징금과 형사고발까지 결정한 공정위의 형평을 잃은 조치에 대해 유감을 표한다”며 “행정소송을 통해 법원에서 부당함을 적극 소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공정위가 쿠팡의 로켓배송 상품 추천을 금지한다면 더 이상 지금과 같은 로켓배송 서비스는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쿠팡은 다른 오픈마켓과 달리 매년 수십조원을 들여 로켓배송 상품을 직접 구매하여 빠르게 배송하고 무료 반품까지 보장해 왔다. 고객들은 이러한 차별화된 로켓배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쿠팡을 찾고, 쿠팡이 고객들에게 로켓배송 상품을 추천하는 것 역시 당연시 해왔다고 쿠팡은 설명했다.

쿠팡은 “로켓배송 상품을 자유롭게 추천하고 판매할수 없다면 모든 재고를 부담하는 쿠팡으로서는 더 이상 지금과 같은 로켓배송 서비스를 유지하기 어렵고 결국 소비자들의 막대한 불편과 피해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쿠팡은 또 “만약 공정위가 이러한 상품 추천 행위를 모두 금지한다면 우리나라에서 로켓배송을 포함한 모든 직매입 서비스는 어려워질 것”이라며 “쿠팡이 약속한 전국민 100% 무료 배송을 위한 3조원 물류투자와 로켓배송 상품 구매를 위한 22조원 투자 역시 중단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실제 쿠팡은 오는 20일 중장기 물류투자 확대 계획에 따라 개최할 예정이던 부산 첨단물류센터 기공식을 취소하기로 하고 부산시 등 관계기관에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도 이천과 경북 김천에 들어설 물류센터 착공 일정도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앞서 쿠팡은 지난 3월 오는 2027년까지 전국민이 무료 로켓배송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를 위해 2026년까지 3년간 신규 풀필먼트센터(FC) 확장과 첨단 자동화 기술 도입, 배송 네트워크 고도화 등에 3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당시 쿠팡은 “3년 뒤면 한반도 최남단 남해군을 포함해 전국 5000만 인구가 주문 하루 만에 식료품과 생필품을 무료배송 받을 수 있는 시대가 열릴 것”이라며 “2027년까지 인구 감소와 고령화, 저출산의 직격탄을 맞은 지방을 포함, 전국 대부분 지역에 무료 로켓배송을 확대할 것”이라고 했다.


김수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imk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