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롯데 경영권승계 본격화…신유열, 日 롯데홀딩스 사내이사로 (종합)

공유
0

롯데 경영권승계 본격화…신유열, 日 롯데홀딩스 사내이사로 (종합)

신유열 롯데지주 전무. / 사진=롯데이미지 확대보기
신유열 롯데지주 전무. / 사진=롯데
신유열 롯데지주 전무가 한국에 이어 일본 지주사에서도 임원직을 맞게 됐다. 그룹 차원의 경영 승계작업이 본격화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를 두고 신동주 전 부회장은 능력이 전혀 검증 안 된 신유열의 이사 선임은 시대를 역행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26일 일본 롯데홀딩스 정기 주주총회에서 신유열 롯데지주 전무의 사내이사 선임 안건이 통과됐다.
롯데홀딩스 관계자는 신유열 이사 선임 배경에 대해 “신유열 이사는 노무라증권에서 경험을 쌓고 재직 중 컬럼비아대학교에서 MBA를 취득한 후 롯데에 입사했다”며 “신 이사는 롯데파이낸셜 대표로서 금융시장에 대한 조예가 깊고, 롯데홀딩스 경영전략실을 담당하는 등 회사 경영 전반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풍부하다”고 밝혔다.

더불어 “한국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 롯데바이오로직스 글로벌전략실장을 역임하며 역량을 발휘하여 이사 후보로 추천됐고 이번 주주총회에서 이사로 선임됐다”고 덧붙였다.

업계에선 롯데의 후계 승계작업이 본격화됐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신 전무는 지난해 말 롯데 정기인사에서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 전무로 승진하며 경영 전면에 나섰다. 올해 초에는 롯데바이오로직스 사내이사에 올랐고, 최근 롯데지주 지분 0.01%를 확보했다.

한편 이날 롯데홀딩스 주총에서 회사 측 3개 안건은 승인됐다. 신동주 전 부회장 측이 제안한 본인의 이사 선임, 정관 변경 등 안건은 모두 부결됐다.

이로써 신 전 부회장이 2016년 이후 총 10번의 주총에서 제안한 안건들은 모두 부결됐다. 광윤사(롯데홀딩스 지분 28.1% 보유)만으로 신 전 부회장의 경영복귀가 요원함이 다시 한번 입증됐다고 롯데 측은 설명했다.

롯데에 따르면 주주와 임직원들이 신 전 부회장을 불신하는 이유는 그의 준법경영 위반 사실과 맞닿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 전 부회장은 2014년 12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일본 롯데 이사직에서 연이어 해임된 후, 각 회사들을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일본 법원은 그의 해임이 정당하다는 취지의 판결을 내린 바 있다. 당시 법원은 신 전 부회장이 경영자로서 부적격하고 준법의식도 결여되어 있다는 표현까지 사용했다.

해당 재판과정에서 공개된 내용을 보면 신 전 부회장은 이사진 반대에도 불구하고 불법 수집 영상 활용을 근간으로 하는 ‘풀리카(POOLIKA)’ 사업을 강행했을 뿐만 아니라 임직원 이메일 정보도 부정한 방법으로 취득한 것으로 밝혀졌다.

신동주 전 부회장은 롯데홀딩스 정기주주총회 결과와 관련해 “이번 주총에서도 롯데 측은 롯데그룹 위기상황과 관련된 사전 질문에 상황 타개를 기대할 만한 실질적인 답이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능력이 전혀 검증 안 된 신유열의 이사 선임은 시대를 역행하는 것”이라며 “주총 결과와 상관없이 앞으로도 롯데홀딩스 최대주주로서 위기 상황을 탈피하고,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한일 롯데그룹 경영체제 쇄신에 대한 요구를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수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imk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