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정용진 회장, 이명희 총괄회장 이마트 지분 매수…‘책임경영 강화’

글로벌이코노믹

정용진 회장, 이명희 총괄회장 이마트 지분 매수…‘책임경영 강화’

정 회장, 모친 이 총괄회장 이마트 지분 10% 매수
“최대주주로서 성과주의에 입각한 책임경영 강화”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이 모친인 이명희 총괄회장이 보유한 이마트 지분 전량인 10%를 매수한다. 사진=신세계그룹이미지 확대보기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이 모친인 이명희 총괄회장이 보유한 이마트 지분 전량인 10%를 매수한다. 사진=신세계그룹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이 모친인 이명희 총괄회장이 보유한 이마트 지분 전량인 10%를 매수한다. 이번 주식 매매 계획은 정 회장이 이마트 최대주주로서 성과주의에 입각한 책임경영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조치라고 이마트는 설명했다.

이마트는 지난 10일 정 회장 모자의 거래계획보고서를 공시했다. 정 회장은 오는 3월 11일까지 30거래일간 시간외거래를 통해 이 총괄회장이 보유한 이마트 보통주 278만7582주를 주당 7만6800원, 모두 2140억8600여억원에 사들이기로 했다.

이마트와 신세계 지배구조를 보면 정용진 회장과 동생인 정유경 신세계 회장은 이마트 지분 18.56%, 신세계 지분 18.56%를 각각 보유한 최대주주로 있다. 이 총괄회장은 이마트와 신세계 지분을 10.0%씩 보유하고 있다.

이번 지분 인수를 마치면 정 회장이 보유한 이마트 지분율은 28.56%가 된다. 이마트는 “불확실한 대내외 환경 속에서 정 회장이 개인 자산을 투입해 부담을 지고서라도 이마트 지분을 매수하는 것은 이마트 기업가치 제고에 대한 책임 의식과 자신감을 시장에 보여준 것”이라고 밝혔다.
정 회장은 지난해 3월 회장으로 승진했다. 2006년 부회장에 오른 후 18년 만의 승진 인사다. 회장으로 한 해를 보낸 그는 올해 새해를 맞이해 “우리의 본업에 대해 집요하게 고민하고 실행해야 한다”고 메시지를 던졌다.

정 회장은 신년사에서 위기를 정면 돌파할 핵심 무기로 ‘1등 고객을 만족 시키는 본업 경쟁력’을 앞세웠다. 그는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성장하기 위한 우리의 ‘본업 경쟁력’은 ‘1등 고객’을 기반으로 한다”며 “늘 새로움을 갈망하는 ‘1등 고객’을 제대로 아는 것이 우리의 본업이다. 그리고 1등 고객이 우리를 아는 게 경쟁력이다”라고 피력했다.

‘1등 고객을 만족 시키는 본업 경쟁력’, 이것이 2025년 위기를 정면 돌파할 핵심 무기라고 본 것이다. 정 회장은 또 2025년의 시기적인 중요성을 말하며 “지금이 신세계가 또 다시 혁신하고 변화할 적기”라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신세계그룹의 본업에 대해 “본업이란 오늘의 신세계그룹을 있게 한 성장 엔진”이라며 엔진의 핵심 연료는 ‘1등 고객’이라고 정의했다.

고객을 두려워하되 변화는 겁내지 말자고 강조했다. 변화를 두려워할 때 고객보다 나를 먼저, 도전보다 회피를 선택하기 때문이다. 정 회장은 “지금 우리는 몸을 사릴 이유가 없다”며 “조직과 사업에서 1등 고객이 어디로 향하는지 치열하게 읽고 실행해 달라”고 주문했다.

한편 신세계그룹은 2019년 이마트와 신세계가 실질적인 지주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이마트부문과 백화점부문을 계열 분리를 위한 사전 준비를 시작했다.

이마트부문은 이마트를 구심점으로 스타필드, 스타벅스, 편의점과 슈퍼 등 고객의 라이프 스타일 전반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입지를 다져왔다. 백화점부문은 신세계백화점을 필두로 패션‧뷰티, 면세와 아웃렛 사업을 통해 시장 경쟁력을 확대해왔다.

백화점부문을 진두지휘하는 정유경 회장은 지난해 신세계그룹 정기임원인사에서 신세계 총괄사장에 오르고 9년 만에 회장으로 승진했다. 신세계그룹은 당시 “정유경 총괄사장의 회장 승진은 책임경영을 강화하고, 계열 분리의 토대 구축을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룹을 백화점부문과 이마트부문이라는 두 개의 축을 중심으로 분리해 새로운 성장을 도모하겠다는 것으로, 이번 인사를 시작으로 향후 원활한 계열 분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역량을 모을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정유경 회장의 이 총괄회장 신세계 지분 10%에 대한 매수 계획은 아직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수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imk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