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보험료 카드결제 확대를 유도하고자 보험사별 카드결제 여부를 비율로 보여주는 ‘카드납 지수’를 개발하고 2018년 4월부터 각 협회에 보험사별 카드납 지수를 공개토록 했다. 하지만 신용카드 납부 비중은 여전히 미미하고 소비자의 편의마저 저해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심지어 지난 20, 21대 국회에서도 신용카드를 이용한 보험료 납부 의무화를 담은 보험업법 개정안을 연이어 발의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폐기되면서 보험료 카드납부 비중은 수년째 제자리 걸음이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카드납 생보사 11.3%, 손보사 17.1% 불과
15일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생명보험사의 신용카드납 건 수 기준 비중은 불과 11.3%다. 전년 동기대비 0.5%포인트 줄었다. 보험 상품으로는 보장성보험의 14.1%가 카드결제로 납입됐다. 저축성보험과 변액보험도 각각 1.1%와 0.8%에 불과했다. 보험사별로는 삼성생명 0.5%, ABL생명 0.3%, 메트라이프생명 0.2%로 카드납 비율이 1%도 채 넘기지 못했다. 이밖에도 하나생명 8.3%, 흥국생명 7.1%, 미래에셋생명 6.6%, DGB생명 6.2%, DB생명 4.2%, NH농협생명 4.1%, KDB생명 3.0% 역시 카드납이 10%가 채 되지 않았다.
한화생명과 교보생명 등 생보 빅3를 비롯해 푸르덴셜생명, IBK연금보험, 교보라이프플래닛 등은 카드납부를 아예 받지 않고 있다.
손해보험사의 지난해 3분기 건수 기준 신용카드납 비중은 17.1%로 생명보험사보다는 높았다. 하지만 여전히 비중은 10%대에 머물러 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0.6%포인트 정도 많다. 손해보험사의 경우 보험종목별로 차이가 있다. 다이렉트 등 비대면 채널을 통한 가입 비중이 높은 자동차보험은 카드결제가 66%로 높다. 하지만 장기보장성보험은 15.3%, 장기저축성보험은 5.1%로 카드납 비중이 낮다. 그럼에도 손해보험사 중 캐롯손보의 경우 92.3%로 90%가 넘는 카드결제율을 보였는데 자동차보험에 치우쳤다. 이밖에도 카드납 비중은 에이스손해보험의 66.8%를 비롯해 AIG손해보험 44.5%, AXA손해보험 40.1%, 하나손해보험 36.6%, BNP파리바카디프손해보험 22.6%, 삼성화재 17.9%, DB손해보험 16.9%, 메리츠화재 16.5%, 롯데손해보험 16.0%, KB손해보험 15.8%, 흥국화재 15.3%, 현대해상 13.3%, 한화손해보험 9.7%, 농협손해보험 9.3%, MG손해보험 9.2%등 이었다.
◆수수료 두고 카드사와 입장차 평행선
카드결제가 되어도 매월 자동 결제가 되지 않았다. 보험 가입자는 매달 고객센터를 방문하거나 설계사에게 직접 결제를 요청해야했다. 보험사 대부분이 자동화 시스템을 갖추지 않아 가입자들이 매달 불편을 감수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청와대 국민 청원이나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는 편의점에서 1000원 이하의 물건도 카드 결제가 되는 마당에 매달 몇 만원 씩 내야하는 보험료의 경우 왜 카드 결제가 안 되는 것이냐며 이를 불만하고 성토 하는 내용의 글들이 꾸준히 올라오고 있다.
보험사들이 이처럼 보험료 카드결제에 소극적인데는 카드수수료에 대한 고민이 숨어 있다. 보험사들은 보험료 카드 납부를 정착 시키기 위해선 먼저 현 2%대인 카드 수수료율의 조정 필요성을 제기한다. 반면, 카드사들은 보험사 요구를 다 들어줘서 수수료를 인하하게 되면 원가도 못 맞추게 되고 형평성에도 어긋난다며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다, 수수료를 놓고 양측이 좀처럼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생명보험사의 경우 보험료 납입 기간이 10년 이상인 상품이 많다”며 “월 보험료 규모 또한 커 보험료 납부를 카드납으로 하게 될 경우 카드수수료 부담이 매우 커진다"며 “보험사마다 다르지만 보통 사업 마진률은 5% 정도다. 이중 카드수수료로 2%를 떼게 되면 보험사들의 이익 규모는 줄게 된다. 카드결제로 보험료를 받을 경우 사업비도 늘어 결국 보험료 인상으로 이어지게 된다. 결국 이에 대한 부담이 가입자들의 몫으로 돌아가게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보험을 카드로 결제하는 것은 빚을 내 적금을 드는 것과 마찬가지다”며 “적금이나 펀드투자에 카드 결제를 허용하지 않는 것도 이같은 이유다”고 덧붙였다.
이보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lbr0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