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 측은" 청년도약계좌 관련 건전 재정기조 확립을 위한 총지출 관리, 자산형성·목돈마련 취지 구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예산을 책정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일각에선 벌써부터 "공약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은 것 아니냐"는 등 부정적 의견이 나오고 있다.
실제, 비과세인 청년도약계좌를 모의계산해 보면 월 70만원 납입 시 기여금 6%(4만2000원)를 매칭하면 월 74만2000원이 된다. 여기에 이자수익 연 5%(가정)를 적용 시 원금은 4452만원, 세전이자는 565만7750원으로 총 5017만7750원이 된다.
백 연구위원은 "정부가 예상하는 가입자는 19~34세 인구(1059만명)의 30% 수준인 306만명으로 정부가 감당할 수 있을지 의심 된다"며 "결국 금융권으로 비용 부담이 전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한 청년도약계좌는 만기도 길다. 최근 청년들의 생애주기나 금융 트렌드와도 맞지 않는다. 백 연구위원은 "청년층은 결혼, 주택마련 등 자금 소요 요인이 불시에 발생할 수 있는 연령대다"며 "장기저축상품에 가입한 경험이 적은 청년들이 5년간 매월 40만∼70만원의 금액을 내기도 어려워 결국 중도 해지나 인출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실제 청년희망적금의 경우 만기가 2년임에도 불구하고 1개월만에 가입자 2만여 명이 중도 해지했다. 사업 시행이 6년이 넘은 내일채움공제도 2년 유지율이 60% 전후에 그치며 3년형 제도는 폐지된 바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청년도약계좌가 세수로 다 감당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며 "돈을 모으려는 청년들에게는 혜택이 되겠지만 청년들의 경우 저축 여력이 가능한 이들은 많지 않다"고 꼬집었다. 이어 그는 "내년 시행으로 금리 수준이 아직 결정되지 않아 부담도 크지 않다면 은행들이 사회적 책임에 따라 적극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정부가 청년을 도와주는데 부담이 금융권에 전이 된다면 결국 은행의 조달 비용만 늘어 대출 부담 증가라는 부메랑이 돼 돌아올 수 밖에 없을 것이다"고 우려했다.
이종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zzongyi@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