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 등 4대 금융지주의 신용부도스왑(CDS) 프리미엄 평균은 지난 4일 기준 75bp(1bp=0.01%p)로 조사됐다. 지난해 말 22bp에서 올해 들어 3배 넘게 급등했다. CDS는 채권을 발행한 국가나 기업이 부도시 손실을 보상해 주는 보험 성격의 금융파생상품이다. CDS 프리미엄이 높다는 것은 해당 채권의 부도 위험이 크다는 의미다.
올 들어 CDS 프리미엄은 2017년 말 이후 5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지주별로 △하나금융은 22bp에서 77bp로 △우리금융은 22bp에서 77bp로 △KB금융은 22bp에서 75bp로 △신한금융은 24bp에서 73bp로 각각 뛰었다.
이들 4대 지주는 올 3분기까지 13조원이 넘는 당기순이익을 올리며 최대 실적을 이어가고 있다. 그럼에도 부도 위험이 커진 것은 기준금리가 빠르게 오르면서 시중은행 차주의 디폴트(채무불이행) 가능성이 확대돼, 금융지주의 CDS 프리미엄에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최근 벌어진 강원도 레고랜드 발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디폴트와 흥국생명의 달러화 신종자본증권 조기 상환(콜옵션 행사) 불발 사태 등이 시장에 충격을 주면서 국내 금융시장 신뢰도는 더욱 하락했다.
이도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ohee1948@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