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면 2금융은 시중은행 대비 열악한 차주의 NPL 물량에 대한 시장 선호도가 낮다. 또 코로나19 발생 이후 정부가 채권 매각을 금지해 적극적으로 건전성 관리에 나설 수도 없는 상황이다.
NPL 상·매각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시중은행에서도 빚을 제때 갚지 못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는 신호다. 실제 은행권 연체자 수는 9월 말 기준 13만4048명으로 1년 전(8만8021명)보다 52.3% 급증했다. 연체율 역시 3분기 기준으로는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그래도 시중은행의 사정은 좀 낫다. 2금융권 대비 우량 차주가 많아 시장에서 소화가 잘되는 편이기 때문이다. 반면 저축은행이나 카드사, 캐피털 등 2금융권에서도 NPL 매각 시도가 이어지고 있지만, 은행만큼 잘 팔고 있진 못하고 있다. 2금융권은 차주들의 상환 능력이 시중은행 차주 대비 열악하고, 다중채무자가 많아 매입 업체들도 리스크를 감안해 외면하는 실정이다.
정부의 NPL 매각 금지 조치 이후, 저축은행의 NPL 매각 어려움이 더 커졌다는 주장도 있다. 그간 저축은행은 부실채권이 발생하면 대부업 등에 채권을 매각해왔다. 코로나19 이후 금융당국은 차주들의 부담을 우려해 NPL채권 매각을 금지했다. 이후 저축은행에서 부실채권이 누적되자 정부는 캠코 외에 민간 F&I 등에 NPL 매각을 허용했다. 그러나 F&I는 원래 개인신용대출을 취급하던 업체가 아니다. 이렇다 보니 매각 가격 협상 등 진행 상황이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저축은행 채권 매각이 원활하지 않으면 해당 채권에 대해 대손충당금을 더 쌓거나 최종 손실 처리하는 수밖에 없다. 저축은행 업계 적자가 지속되는 가운데, 정부 조치가 수익성뿐만 아니라 건전성 부담만 키웠다는 불만이다. 또 다른 관계자는 “시중은행 NPL 물량 영향보다는 대부업 매각 제한이 실질적인 원인이다”라면서 “당시 당국에서 대부업에 채권을 매각하면 (채권추심 등의 이유로) 서민들의 부담이 가중될 것이란 우려가 있었다. 업권 사정을 고려하지 않다 보니 어려움이 가중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dtjrrud8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