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업계에서는 온투업 성장이 뒷받침되기 위해선 기관투자가 실제 투자에 나설 수 있도록 ‘기관투자의 공급망금융 확대’, ‘자동 예약투자’, ‘자기자본투자 확대’ 등 투자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온투업 규제가 워낙 촘촘하다 보니 투자도 복잡하고, 자동 예약투자 기능도 없어 추가적인 비용 부담도 감수해야 하는 상황이라 중소업체들은 사업 확대가 어렵다는 목소리가 크다.
규제 완화에 되레 부정적 기류가 감지되는 배경은 핵심 알맹이만 쏙 빼놨기 때문이다. 금융위 규제 완화는 ‘개인대출’ 완화에만 집중해 있다. 개인대출을 취급하는 상위 3개 업체 외에는 규제 완화 효과를 체감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재작년 기준 우리나라에서 발행된 매출채권 규모는 약 5100조원으로 추정되고 있지만, 이 중 유동화 비율은 단 1.27%(66조원)에 그친다. 이마저도 유동화 비율은 매년 줄고 있는 추세다. 업계는 기관투자 유치를 통해 매출채권 유동화 등을 희망하고 있지만, 금융당국이 부동산 시장 자금 유입을 우려해 추가적인 규제 완화가 이뤄지지 않는 상황이다.
기관투자를 허용하더라도 투자 환경이 워낙 까다로워 관심이 저조하다는 의견도 있다. 금융기관의 온투업 투자를 위해서는 투자조건을 설정하고 이에 맞는 상품 발생 시 자동으로 투자가 가능한 예약투자가 필요하다. 온투업은 현재 기본적으로 기초 상품에 대한 구조화가 금지돼 있다. 이 때문에 금융기관이 온투업 투자에 나서려면 사이즈가 작은 개별 상품에 대해 일일이 투자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투자를 하더라도 전담 직원을 두는 등 부수적 비용 때문에 실질적으로 온투업을 외면하는 요인이란 지적이다.
온투업 자체의 신뢰를 높이기 위해 자기자본투자 한도를 확대하는 것도 방안으로 제시된다. 현재 온투업 개별 상품 대상 자기자본투자는 20% 이내로 제한돼 있다. 업계는 리스크를 최대한 배제한 건전한 상품을 투자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자기자본투자 비중 확대가 필수라고 입을 모은다. 자기자본투자의 경우 상품의 안전성이 담보돼야 하므로 투자자에게 안전한 선택을 할 수 있다는 얘기다.
온투업 한 대표는 “대출처럼 규제를 적용해 버리면 LTV 규제라든지 다 따져봐야 하니깐 누가 투자를 하겠나”라면서 “상품별로 한도를 다 제한해 놓는 등 하도 까다롭게 만들어놨으니 기관투자 요인이 크지 않은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dtjrrud8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