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결제 비중 50.2%…오프라인 49.8% 제쳐
삼성페이 등 4개사 결제 규모만 ‘147조원’ 기록
삼성페이 등 4개사 결제 규모만 ‘147조원’ 기록

2014년 간편결제가 등장한 이후 처음으로 스마트폰을 통한 간편결제 비중이 오프라인 실물카드 결제를 넘어섰다. 온라인뿐 아니라 키오스크 도입 등으로 오프라인에서도 간편결제 시장이 더욱 확대되고 있어 간편결제 확산 속도가 더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폰으로 모든 결제가 가능해지면서 사실상 지갑을 소지하지 않고 다니는 실태가 반영된 것이다.
5일 여신금융업계와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결제시장에서 모바일 비중은 작년 상반기 말 기준 50.2%를 기록해 오프라인 비중(49.8%)을 추월했다. 간편결제가 처음 모습을 드러낸 2014년만 하더라도 결제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미미했지만, 최근 확산 속도가 두드러진다.
모바일결제 비중은 지난 2020년 44.1%까지 상승한 이후 2021년 47.1%, 2022년 48.3%까지 꾸준히 점유율을 늘려왔다. 반면 약 56%에 달했던 실물카드 비중은 현재 40%대로 낮아지면서 내리막길이 뚜렷하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일평균 간편결제 서비스 이용금액은 2021년 상반기 5590억원에서 2023년 상반기 8450억원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이용 건수도 1821만 건에서 2628만 건으로 44% 급증했다. 현재 간편결제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업체는 삼성페이·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NHN페이코 등 4개사다. 작년 한 해 이들을 통한 결제 규모만 147조7892억원에 달한다.
이동통신 전문 조사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최근 온라인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간편결제는 무엇인지를 주제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봐도 금융·카드사 진영이 40%, 빅테크·핀테크 진영이 39%로 전통 금융권 인지도를 턱밑까지 따라왔다.
빅테크·핀테크의 인기도가 높아지는 원인으로는 △범용성 △혜택 사용 시 편의성 등이 꼽힌다. 사용처가 넓은 핀테크들의 간편결제 서비스와 달리, 카드사들이 운영하는 앱카드의 경우 사용처가 한정돼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카드사 앱이 아닌 별도의 앱을 설치하고 인증 절차를 밟아야 해 편의성이 다소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오픈페이 서비스 역시 삼성·현대·우리카드가 아직 참여하지 않고 있어 큰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 밖에 금융·카드사의 경우 결제 시 얻는 포인트나 혜택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처가 제한적이라는 점도 유인 요인을 떨어뜨린다.
간편결제 시장에서 카드사 점유율은 2019년 43.8%에서 작년 33.4%로 약 10%p 급감했다. 최근 카드업계는 QR결제를 고도화해 빅테크에 맞서고 있지만, 소비자들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고심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여신업계 한 관계자는 “빅테크사들은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해 결제 서비스로 연결하는 반면, 결제 데이터가 중심인 카드사들은 이런 점에서 경쟁력 차이를 보이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dtjrrud8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