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M&A 위기②] 보험사 매각 '잔혹사'...예상못한 복병에 줄줄이 유찰

글로벌이코노믹

[M&A 위기②] 보험사 매각 '잔혹사'...예상못한 복병에 줄줄이 유찰

올해 주요 보험사 매각 연이어 무산…동양·ABL만 남아
바뀐 회계제도로 보험사 시장평가 어려운게 '큰 문제'
우리은행 사옥 /사진=우리은행이미지 확대보기
우리은행 사옥 /사진=우리은행
보험사 주요 매물들이 올해 인수합병(M&A) 결실을 맺을 것이라는 전망이 잇달아 무산됐다. ABL생명, 동양생명, 카디프생명, KDB생명, MG손해보험, 롯데손해보험 6곳은 부실, 고평가, 사법리스크 등으로 매각이 좌절되거나 지연될 위기에 직면했다. 국내외 사모펀드와 금융지주사들이 꾸준히 입질했지만 M&A 최종 성사가 어려운 잔혹사가 이어지고 있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인수합병 시장에서 매물로 거론되는 보험사는 △ABL생명 △카디프생명 △KDB생명 △MG손해보험 △동양생명 △롯데손해보험 등 총 6곳이다. 그러나 얼마 전 터진 손태승 우리금융 전 회장 친인척 부당대출 사건을 포함해 모든 보험사 인수합병이 기존에 시도했다가 한번 이상 무산됐거나 사법리스크가 존재하는 등 잡음이 있는 상태다.

매각 불발의 주된 이유로는 부실 우려로 인한 자본확충 부담과 지나치게 고평가됐다고 여겨지는 보험사들의 기업가치가 꼽힌다. 비은행 포트폴리오 강화를 노려온 금융지주사들을 비롯한 원매자들은 보험사 인수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막상 인수 절차는 지지부진한 상태다. 업계 전문가들은 몸값 고평가 문제가 해소되지 않는 한 상황이 반전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MG손해보험의 4번째 매각 시도가 결국 무산됐다. 입찰에 참여한 3개사 중 적절한 낙찰자가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예금보험공사는 조만간 수의계약을 통한 매각을 추진할 계획이다. 만약 수의계약 또한 실패할 경우 금융당국이 결국 MG손보를 청산하기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현재 MG손보에서 보험계약을 유지하고 있는 소비자들의 피해도 불가피하다.
최근 롯데손해보험 매각도 실패로 돌아갔으며, KDB생명 역시 10년째 매물로 나와 있지만 새 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현재 산업은행은 KDB생명 매각을 중단하고 아예 자회사 편입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나마 가장 인수합병 가능성이 높은 곳으로는 동양생명과 ABL생명이 있다. 우리금융지주는 현재 이 두 보험사의 패키지 인수를 위해 대주주인 중국계 다자보험그룹과 협의를 진행 중이다. 인수에 필요한 자금은 약 2조원에서 2조원 중반대로 예상되며, 현재 우리금융은 두 보험사에 대한 실사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금감원이 우리은행 부정대출을 이유로 우리은행금융그룹을 기관 제재 할 경우 동양생명·ABL생명 패키지 인수에도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보험사 매각이 연이어 무산되면서 보험업계 M&A 시장이 다시 얼어붙는 양상이다. 금융지주사들은 자금력도 있고 은행 의존도를 낮추고 증권·보험 등 비은행 포트폴리오를 확대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만큼 보험사 인수에 관심이 높지만, 매도자 측이 제시하는 가격이 지나치게 높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바뀐 회계제도로 인해 보험사들의 장부상 순이익이 크게 늘어나면서 벌써 몇년간 보험사 인수합병은 표류하고 있다. 순이익 증가로 인수 가격은 뛰었는데, 가업 가치평가 및 부실위험 예측은 어려워졌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롯데손보의 경우 원매자가 예상 매각가를 2조원 중반대로 부른 것으로 알려졌는데, 우리은행은 이를 “전혀 고려하지 않는 가격”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한편, 보험사들의 신지급여력비율(K-ICS, 킥스) 하락세도 원매자들의 인수 의지를 꺾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현재 보험업계 전반에 걸쳐 킥스 비율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향후 금리 인하 시 이 비율이 더욱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또 지금은 매물로 나온 보험사들을 포함한 다수 보험사들이 현재 킥스 적용 유예조치를 받고 있지만, 이러한 유예조치가 점차 사라지면서 보험사들이 킥스 비율을 맞추기 위한 부담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는 것도 문제다. 보험사들의 킥스 비율을 맞추기 위해서는 자본 확충 등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할 수 있어 인수자 입장에서는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김다정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2426w@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