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금융권 고위직, 정치권 ‘보은인사’ 줄이어...낙하산 논란 재점화

글로벌이코노믹

금융

공유
0

금융권 고위직, 정치권 ‘보은인사’ 줄이어...낙하산 논란 재점화

최근 2년간 대통령실 퇴직 공직자 8명 금융권 고위직行
근무이력·전공 등 살펴보니 대부분 금융 전문성과 ‘무관’
능력 없어도 자르기 쉽지 않아…부적격 판단 시 해임해야

금융권 낙하산 인사가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다. 사진은 최근 논란이 된 SGI 서울보증 본사 사옥 전경. 사진=SGI서울보증 제공.이미지 확대보기
금융권 낙하산 인사가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다. 사진은 최근 논란이 된 SGI 서울보증 본사 사옥 전경. 사진=SGI서울보증 제공.
김대남 SGI서울보증 상임감사위원의 ‘고발 사주’ 의혹이 금융권 ‘낙하산 인사’ 논란으로 확산되고 있다. 대통령실 출신 인사 금융공기업 고위직에 대거 포진(8명)하면서 금융업 전문성이 위협받고 있다.

선진국은 고위직으로 선임되더라도 이사회에서 부적격으로 판단 시 해임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고위 임원 대상 ‘적격성 심사 제도’가 부재해 법적 요건 충족시 임기를 이어가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7일 정치권과 금융권 등에 따르면 최근 2년간 대통령실에서 퇴직한 공직자 44명 중 금융권으로 취업한 인사는 8명으로 확인됐다. 회사별로 보면 서울보증보험을 포함해 이지스자산운용(자문위원), 한국금융연구원(초빙연구위원), 비바리퍼블리카(대관), 경남은행(상임감사위원), 농협은행(사외이사), 엠캐피탈(자문위원), 하나금융지주(사회가치위원) 등이다.

이들 인사가 논란이 되는 배경은 역시 전문성 때문이다. 임명된 인사 대부분이 금융업과 크게 무관한 전공이거나 경력을 보유한 자들이다. 이날 사직서를 제출한 김대남 SGI서울보증 상임감사위원은 대학교에서 토목공학을 전공했으며, 시행사 대표로 근무하면서 경력을 쌓았다. 윤석열 대통령의 후보 시절 캠프에서 일하다가 인수위원회 자문위원을 지냈다.
지난 8월 NH농협은행 사외이사로 선임된 장인환 전 대통령시민사회수석실 행정관도 금융 전문성과는 동떨어진 경력이다. 장 이사는 대통령실 근무 당시 종교단체 등을 주로 담당했었다.

올해 4월 BNK경남은행 상임감사로 임명된 김진성 전 대통령법률비서관실 행정관 역시 검찰 수사관 출신이다. 과거 검찰 내 회계 분석 전문가로 평가받는다. 그는 과거 국정농단 특검을 비롯한 대기업을 겨냥한 굵직한 특수수사를 두루 거치며 윤석열 대통령,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와도 오랜 인연으로 알려졌다.

정치권의 낙하산 인사는 비단 윤석열 정부만의 문제가 아니다. 매번 정권이 바뀔 때마다 각자 입맛에 맞는 인사가 금융권 고위직으로 이직해 여론의 질타를 받아왔다. 현행 공직자윤리법에 따르면 퇴직 공직자는 퇴직일로부터 3년 안에 재취업하는 경우 취업 심사를 받아야 하며, 공직자윤리위원회가 퇴직 전 5년간 소속했던 기관과 취업 심사 대상 기관의 업무 간 밀접한 관련이 없다고 확인하면 재취업이 가능하다.

그러나 고위직으로 선임된 인물에 대해 적격성을 평가하는 제도적 장치는 없다.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금융회사지배구조법)에서는 적격요건보다는 ‘결격사유’에 집중해 있어 다른 나라에 비해 금융회사 임원에게 요구하는 자격요건이 매우 느슨한 편이다. 우선 금융회사가 자체적으로 검증해 선임하고 나중에 감독당국에 보고하는 방식이다.

반면 영국의 경우 금융감독당국이 직접 고위 경영자에 대하여 적격성을 심사하고 핵심기능을 수행하는 직원에 대해서도 적격성 구비를 요구한다. 싱가포르와 홍콩, EU 등에서도 금융감독당국이 금융회사의 임원에 대해 적격성 심사를 한다.

이영경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현행 제도로는 금융회사 임원의 적격성 보장을 기대하기 어렵다”면서 “금융회사의 임원의 자격요건 심사를 공정하게 할 수 있도록 독립된 위원회를 활용하도록 하고, 임원으로 선임된 후 적격하지 않음이 드러난 때에는 해임하도록 하는 등 관련 제도를 정비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ong@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