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기준금리, 인플레에 영향 커져…통화정책 속도조절 필요”

글로벌이코노믹

금융

공유
0

“기준금리, 인플레에 영향 커져…통화정책 속도조절 필요”

‘글로벌 통화정책 전환과 한국의 정책 대응’ 세미나
장민 한국금융연구원 “인플레에 수요요인 비중 커진 탓”

14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한국국제경제학회·한국금융연구원·한국은행이 주관한 ‘글로벌 통화정책 전환과 한국의 정책 대응’ 추계정책 세미나에서 장민 한국금융연구원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이민지 기자이미지 확대보기
14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한국국제경제학회·한국금융연구원·한국은행이 주관한 ‘글로벌 통화정책 전환과 한국의 정책 대응’ 추계정책 세미나에서 장민 한국금융연구원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이민지 기자
기준금리가 인플레이션에 주는 영향이 과거보다 커진 양상이라 통화정책 완화 속도에 신중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장민 한국금융연구원은 14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한국국제경제학회·한국금융연구원·한국은행이 주관한 ‘글로벌 통화정책 전환과 한국의 정책 대응’ 추계정책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장 연구원은 “우리나라는 글로벌 공급 충격 영향에 물가안정목표제 도입 이후 최고 수준의 인플레이션을 지속했다”며 “특히 코로나19 펜데믹 이후에는 해외 주요국 인플레이션에 동조되면서 국내 수익 물가와 생산자 물가가 함께 반등, 소비자 물가도 자연스레 올랐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최근 국내 인플레이션은 지난 11일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전까지 이어진 강도 높은 고금리 정책에 따라 수요압력 완화, 공급 충격 약화 등으로 하향 안정세를 보인 양상”이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고인플레이션은 쉽게 물러가지 않을 전망이 우세한데, 이는 인플레이션 움직임에 구조적 변화가 생겼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장 연구원은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수요요인이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이 확대됐다”고 말했다.

그는 “2000년 이후 소비자물가지수(CPI) 구성품목의 가중치 변화를 살펴보면 공급 충격이 영향을 받는 식료품, 에너지 등의 비중은 줄어든 반면 가사서비스, 보건, 음식, 숙박 등 수요충격 영향을 받는 품목의 비중은 커졌다”며 “지난 20년간 CPI에서 공급 요인은 줄고 수요요인은 늘었음을 의미한다”고 봤다.

장 연구원은 “수요요인의 영향력이 확대한 데 더해 인플레이션 지속성 증가, 실물경제의 인플레이션 민감도 확대 등을 고려할 때 물가목표 달성을 위한 통화정책의 완화 속도는 신중히 조절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손종칠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제학부 부교수도 “글로벌 유동성은 저물가·저금리 기조였던 코로나19 펜데믹 이전과 비교해 많이 풀리면서 원유, 원자재 또는 자산가격에 큰 영향을 미쳤는데, 이것이 수요공급 요인에 복합적인 상관관계로 작용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손 교수는 “나아가 가계·기업부채 디레버리징(부채축소)을 위해선 세입자의 주택 임차료뿐만 아니라 자가주거비도 CPI에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