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카드사 자동차 할부 특별한도 축소를 추진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카드업계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2금융권 대출 규제를 강화하려는 금융당국의 방침에 카드사의 자동차 할부 영업에 제동이 걸릴 수 있어서다. 소비자 입장에선 ‘특별한도’가 줄면 차량 구매조건이 불리해지고, 국내 완성차 판매도 위축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그간 카드사의 자동차 할부는 오토론 등 은행권 상품과 달리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에서 제외되어 있어 소비자와 카드사 모두에게 선호받았다.
통상적인 특별한도의 유효기간이 3개월인 것과 달리, 카드사들은 자동차 구매의 경우 최장 5년까지 장기 할부 기간을 제공했다.
이러한 카드사의 자동차 할부는 은행의 자동차 대출이나 리스와 달리 '카드 결제'로 분류되기 때문에 가계대출 관리를 위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에서 제외된다. 때문에 카드사의 자동차 할부가 가계부체 사각지대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금융당국이 조치를 시행하면 카드업계는 상당한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카드사의 할부 결제 수수료 이익은 전체 이익의 15.7%를 차지하고 있다. 본업인 신용판매가 저조한 상황에서 자동차 할부 등 대출사업은 카드사들의 주요 수익원으로 자리 잡았다.
실제로 자동차 할부는 카드업계의 '효자 상품’이다. 카드사 입장에서 자동차 할부 사업은 제조사로부터는 가맹점 수수료를, 소비자로부터는 할부 수수료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결제금액이 크고 할부 기간이 길어 고객 확보 및 유지에도 도움이 된다.
이런 이점 때문에 현재 주요 카드사들은 공격적인 영업을 해 왔다. 실제로 신차 할부결제 시 삼성카드 1.5%, 우리·하나카드 1.2%, 롯데·현대카드 1.0%의 캐시백을 제공한다. 또 삼성카드는 할부금리를 최소 4.1%대로 적용하고 있으며 현대카드는 최대 1.5% 포인트 적립 행사를 진행하는 등 혜택이 높게 유지된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와 여신금융협회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자동차 판매 실적 78조5000억원 중 52.5%인 41조2000억원이 신용카드로 결제됐다.
만약 규제 강화로 카드사들의 자동차 할부 경쟁력이 떨어지면 고객들의 이탈이 발생할 수 있다. 카드사들의 할부 수수료 수익도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소비자 입장에서도 ‘특별한도’가 줄어들면 같은 차량을 더 불리한 조건으로 구매해야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조치 시행시 소비자 선택권이 제한되며 한국의 자동차 구매 자체가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기획재정부도 금융당국에 “한도 축소 시 자동차 소비가 꺾일 수 있다”는 우려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한 카드업계 관계자는 “카드사들의 이번 호실적에 자동차 할부금융이 기여했다”라며 “자동차 할부 사업이 타격을 입으면 카드사 실적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다른 카드업계 관계자는 "현재 실시간으로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모니터링 하고 있다"라며, "특별한도 축소안 관련 구체적인 기준이 나오면 그에 따른 다양한 사안을 검토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김다정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2426w@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