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사업은 지방은행과 인터넷은행이 대출 재원을 반반 부담하는 ‘공동대출’로 고객을 확대하는 것이다. 차주 입장에서도 각 사에서 대출한도 및 금리를 심사받을 수 있어 상대적으로 유리한 구조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방은행인 JB·DGB·BNK 금융지주 및 계열사 은행들은 카카오뱅크·토스뱅크 등 인터넷은행과 업무협약을 맺고 합작을 논의 중이다.
가장 먼저 공동대출상품 출시에 나선 것은 JB금융 계열사인 광주은행이다. 이 은행은 지난 8월 토스뱅크와 함께대출을 세상에 내놓았는데, 출시 62일 만에 잔액 1500억원을 돌파하며 인기를 끌었다. 또 다른 계열사 은행인 전북은행도 최근 카카오뱅크와 업무협약을 맺고 내년 상반기 출시를 목표로 본격 시동을 걸었다.
김기홍 JB금융 회장은 지난달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함께대출은 올해 말까지 2500억원, 내년에는 5000억~1조원 대출 실행이 예상돼 상당히 주요 수입원이 될 것”이라며 “전북은행의 공동대출 상품 출시도 금융당국과 접촉을 시작해 잘 진전되고 있다”고 말했다.
DGB금융의 iM뱅크(구 대구은행)도 카카오뱅크와 전략적 사업제휴 협약을 맺으며 인터넷은행에 손을 뻗었다. 다만 공동대출상품 출시가 아닌 대출비교서비스 제휴모델 구축 협업까지만 진행됐다.
올해 지방은행 최초로 시중은행 전환에 성공한 iM뱅크는 기존 은행에 인터넷은행 성격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BNK금융도 신규 상품 출시까지 이어지진 못했다. 계열사인 경남은행은 최근 토스(비바리퍼블리카)와 사회초년생 대상 신용대출 상품 출시에 협업하기로 하면서 전략적 사업제휴 협약을 체결, 부산은행도 핀테크 사와 고객 이벤트 진행에 힘을 모은 수준이다.
BNK금융 한 관계자는 “공동대출 출시는 여전히 검토 단계에 있다”며 “인터넷은행이 가지는 월간 활성 사용자 수(MAU)나 자금 효과 등 시너지가 얼마나 생길 것인지 파악 중이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공동대출 상품에 규제 특례를 적용하기도 했다. 광주은행·토스뱅크의 함께대출을 규제 특례(혁신금융서비스) 대상으로 지정해 별도의 신고 없이도 상호 간 업무 위탁이 가능하도록 했다.
이 같은 제도 지원에도 상품 출시에 좀처럼 속도가 붙지 않는 이유는 협업을 통한 영업확대·모객 증대·채널 다각화 등 효과보다 개발 비용이 더 크다는 은행권 판단 때문으로 보인다. 금융위 관계자는 “비대면 협업 상품이 기획·개발부터 출시까지 이어지려면 인력 동원, 약관 심사, 상품 취급 등 여러 방면으로 비용이 소요된다”며 “법적 검토에 장시간이 걸리는 것도 고려사항”이라고 말했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