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하나금융그룹이 하나생명 산하에 요양사업 전문 자회사 설립을 추진 중이다. 하나생명은 지난달 시니어 특화 브랜드 '하나 더 넥스트'를 출시한데 이어 시니어 케어 서비스 고도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2025년 하반기 주간보호센터 사업을 시작으로, 2026년 하반기에는 서울 인근에 프리미엄급 요양시설을 건립할 계획이다. 요양전문 자회사 설립은 하나생명이 KB라이프생명·신한라이프에 이어 보험사 중 세 번째다.
지금까지 생보사 중 요양사업 강자는 KB라이프생명이었다. 생보업계 최초로 요양시장에 진출한 KB라이프는 자회사인 KB골든라이프케어를 통해 요양사업에서 광폭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12월에는 서울 종로구 평창동에 첫 분양형 실버타운(노인복지주택) ‘평창카운티’를 개소했다. 내년에는 4월 개소 예정인 ‘은평빌리지’를 포함해 ‘광교빌리지’, ‘강동빌리지’ 등 총 3개 요양시설을 추가 개소할 예정이다.
앞으로도 점차 생보사들의 요양사업 진출은 더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저출산으로 생보사들의 주 고객층이 점차 줄어드는 가운데 요양시설 등 ‘시니어사업’이 새로운 먹을거리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보험업계의 요양사업 진출에는 여전히 걸림돌이 존재한다. 현행 제도상 요양시설 설립을 위해서는 해당 부지와 건물에 대한 소유권을 반드시 보유해야 한다. 수도권의 경우 100인 규모 요양시설 설립에 500~600억 원가량의 막대한 초기 투자비용이 소요되는 실정이다.
지난 7월 정부가 '시니어 레지던스 활성화 방안'을 통해 노인복지주택 관련 규제를 완화했으나, 요양시설은 제외되면서 아직 상당수 보험사는 요양업 진출에 관망세를 보이고 있다. 업계에서는 노인 돌봄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토지·건물 소유 의무 등의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송윤아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보험사의 요양 사업 진출의 경우 투자 규모가 크고 회수 기간이 길며 수익성 측면에서도 어려움이 있다. 또 부실 운영 시 본업에 미치는 평판 리스크도 크다"면서 "이 때문에 보험사 입장에서도 사업 진출에 신중할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보험사의 요양사업 진출이 대중화될 경우 요양시설의 서비스 품질이 전반적으로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만 "초기 비용 부담과 각종 규제로 인해 실질적인 수익성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업계의 적극적인 진출을 위해서는 규제 개선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김다정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2426w@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