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제4인뱅 내년 출범 ‘지역 중기·소상공인 특화’…지방은행과 격전 예고

글로벌이코노믹

금융

공유
0

제4인뱅 내년 출범 ‘지역 중기·소상공인 특화’…지방은행과 격전 예고

평가기준에 중기 자금공급계획 포함되면서
지역 고객 확보한 지방은행과 맞붙을 수도
"자산규모 확대 위한 다변화된 전략 추구해야"

제4인터넷전문은행이 내년 출범을 준비하는 가운데, 지방은행이 이들의 주요 경쟁군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이미지=프리픽 이미지 확대보기
제4인터넷전문은행이 내년 출범을 준비하는 가운데, 지방은행이 이들의 주요 경쟁군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이미지=프리픽
내년 출범하는 제4인터넷전문은행이 비수도권 고객확대가 주요 기능으로 추가되면서 지방은행과 경쟁 관계가 조성되고 있다. 제4인뱅 자급공급계획에 비수도권 고객 공급목표치가 포함되면서 고객층 분산 가능성이 확대된 것이다. 지방은행도 확실한 자금 조달처인 지역 고객을 잡아두기 위해 다변화된 내년 전략을 준비하고 있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제4인뱅(더존뱅크·유뱅크·한국소호은행·소소뱅크·AMZ뱅크·포도뱅크) 예비인가 신청은 내년 3월 시작한다. 이들은 현재 대주주로부터의 자본력 확충에 방점을 찍고 컨소시엄 준비에 막바지 여력을 모으고 있다.
금융당국은 1000점 만점으로 제4인뱅 평가 기준을 제시한 상태다. 구체적으로 혁신성(350점)과 포용성(200점), 안정성(200점) 등을 포함하는데, 이중 포용성은 비수도권 중소기업(소상공인 포함)에 대한 자금공급계획을 평가한다. 제4인뱅이 자금줄이 부족했던 지역과 고객층 대상 금융 공급망 역할을 해줄 것을 요구한 셈이다.

이 때문에 비수도권 중기·소상공인을 주요 고객층으로 삼는 지방은행이 제4인뱅 대적 상대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금융당국이 지난 12일 이 같은 기준을 제시하기 전까진 인터넷전문은행(카카오·케이·토스뱅크)이 경쟁 구도에 올랐었다.
이는 지방은행의 경쟁력이 날로 약화하는 탓에 고객을 잡아둘 저력이 부족하다는 관측에서다.

이동진 상명대학교 경제금융학부 교수는 “지방은행은 수익성이 망가지고 고객 충성도가 약화한 상태라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당초 설립목적에서 크게 멀어졌다”며 “은행권 경쟁은 결국 자산규모 싸움이기 때문에, 지방은행도 사이즈 경쟁을 위해 몸집을 키우는 전략을 추구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 “예금금리와 대출금리 어느 것도 강점이 없는 지방은행 현 상황에서 제4인뱅이 추가될 경우, 제4인뱅이 공격적인 영업을 단행할 진입 초기 시점에 시중은행보다 훨씬 더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실제로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지난달 신규취급액 기준 개인사업자 신용대출금리(1~3등급)는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은행) 5,05~5.89%, 인뱅 3사 5.06~5.51%로 형성됐다. 다만 지방은행의 경우 BNK경남은행(4.72%)을 제외하고 나머지 4곳(BNK부산·광주·전북·제주은행)의 금리가 5.27~7.70%로 높은 수준이었다. 지역에 소재하더라도 지방은행에서 대출할 명분은 떨어지는 것이다.

애매한 위치도 걸림돌이 됐다.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방은행 5곳(구 대구은행 제외)이 운영 중인 실물 영업점은 2024년 6월 기준 605곳으로, 수도권 영업 제한이 풀리기 전인 지난 2014년 12월 713개보다 감소했다. 그렇다고 인뱅만큼 온라인 영업에 치중하는 것도 아니라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한 지방은행 관계자는 “온라인 금융상품 개발에 노력해 전국 고객 모집에 나서고 있지만, 단기간에 성과를 보이긴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다만 향후 은행권 판도는 제4인뱅의 최종 인가 여부와 실행력에 따라 변화 조짐을 감지할 수 있겠다는 전망이다.

이 교수는 “제4인뱅이 지역, 소상공인에 가중치를 많이 뒀는데, 계획대로 이행될지가 관건”이라면서 “과거 인뱅 3사의 진입 사례를 미뤄봤을 때, 인뱅 추가가 은행의 독점적 지위에 영향을 미칠지는 지켜봐야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금융위는 오는 2025년 3월 25~26일 제4인뱅 예비인가 신청서 접수를 진행, 금융감독원 심사를 거쳐 예비인가 여부를 의결할 예정이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