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기준금리 동결] 이창용 “금통위원 전원, 3개월 내 금리인하 열어둬”

글로벌이코노믹

[기준금리 동결] 이창용 “금통위원 전원, 3개월 내 금리인하 열어둬”

한은, 기준금리 2.75% 동결…"금융안정·자본유출 고려"
"내달 경제성장률 수정전망치 발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7일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 결정 방향 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한은 이미지 확대보기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7일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 결정 방향 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한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금융통화위원 전원이 기준금리를 3개월 내로 2.75%보다 낮은 수준으로 조정할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고 밝혔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17일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 결정 방향 회의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한은 금통위는 이날 금통위원 6명 중 5명의 동결 의견으로 기준금리를 연 2.75%로 동결했다.

이 총재는 금리 동결 배경에 대해 “미국 관세정책 변화, 정부 경기부양책 추진 등에 따른 전망경로의 불확실성이 크고, 환율의 높은 변동성과 가계대출 흐름도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며 “대내외 불확실성을 좀 더 살펴보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그는 “금통위원 5명은 금융 안정과 자본 유출 등을 고려할 때 금리를 동결해야 한다고 했다”며 “신성환 위원은 금리 인하로 경기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소수 의견을 냈다”고 말했다.

이어 “5월의 경제 전망 상황에 따라 성장률 전망치를 낮출 가능성이 크다. 수정전망치와 금융·외환시장을 보면서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두는 것이 좋겠다는 조건부 전망이 나왔다”며 “이는 금통위원 전원의 의견”이라고 덧붙였다.

한은은 내달 수정전망치를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이 총재는 “향후 미국과 여타국의 관세 협상이 남아있기 때문에, 내달 수정전망치 확정 시 최종 금리 수준에 대한 견해를 말씀드릴 수 있겠다”고 말했다.

통화정책을 보수적으로 운영한다는 의견에 대해선 “이미 금리 인하 사이클을 시작했으며 (지난 2월을 포함한) 세 차례 인하를 고려하고 있다. 경기 상황에 따라 인하 타이밍만 조정하는 것 뿐”이라고 반박했다.

앞서 한은 금통위는 지난 2023년 1월까지 7회 연속 기준금리를 올리다 경기 둔화, 부동산 시장 위축 등이 우려되자 같은 해 2월부터 지난해 8월까지 13회 연속 금리를 연 3.50%로 동결한 바 있다.

이후 지난해 10월과 11월 각 0.25%p 인하를 통해 기준금리를 3.00%까지 낮췄으며, 올해 1월을 건너뛰고 2월 0.25%p 추가인하를 결정했다.

금통위는 물가와 가계부채, 환율의 흐름을 점검하면서 기준금리의 추가인하 시기 및 속도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