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2.75% 현 수준으로 동결
연준 금리 결정 신중·널뛰는 환율 등 외부 여건에
국내 소비심리 약세·건설 경기 부진·수출 둔화 겹친 탓
이창용 "美 관세정책으로 전 세계 성장률 크게 낮아질 것"
우리도 예외 없어…"5월 수정 전망치 발표"
연준 금리 결정 신중·널뛰는 환율 등 외부 여건에
국내 소비심리 약세·건설 경기 부진·수출 둔화 겹친 탓
이창용 "美 관세정책으로 전 세계 성장률 크게 낮아질 것"
우리도 예외 없어…"5월 수정 전망치 발표"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17일 통화정책방향 결정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2.75%로 결정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미국 관세정책 변화, 정부 경기부양책 추진 등에 따른 전망경로의 불확실성이 크고, 환율의 높은 변동성과 가계대출 흐름도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동결 배경을 밝혔다.
한은은 트럼프 행정부의 고강도 관세로 미국을 비롯한 여타국의 성장 하락 흐름이 예상된다고 관측했다. 이 총재는 “해외기관과 국제통화기금(IMF)이 내주 새 (성장률) 전망을 발표하는 가운데, 미 관세정책에 의해 전 세계 성장률이 크게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특히 미국은 물가 상승 압력이 높아진 데 따라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 결정에 신중을 기울인다는 것이 이 총재의 설명이다.
대내 여건도 내수와 수출 둔화로 부정적인 흐름을 보였다고 이 총재는 밝혔다. 그는 “정치 불확실성에 따른 소비심리 둔화, 대형 산불 등 이례적인 요인 가세, 예상보다 부진한 건설 경기, 통상 여건 악화에 따른 이달 수출 증가 폭 둔화 등 전반적인 모멘텀이 약화했다”고 말했다.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를 유지하는 데다 변동 폭이 큰 점도 금리 동결의 재료가 됐다. 금리 인하 시 원화 저평가에 영향을 주는데, 최근 달러 가치가 10% 하락하는 사이 원 화가치는 3% 오르는 데 그쳐 저평가 흐름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 총재는 “최근 환율은 변동이 굉장히 많다”면서 “앞으로 미 관세정책 방향과 다른 나라의 수용 방안, 미 통화정책 및 달러인덱스, 국내 정치 불확실성의 일부 영향 등이 환율에 영향을 가장 크게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따라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당초 예상 전망치인 1.5%를 하회할 수 있다고 한은은 예측했다.
이 총재는 “국내 1분기 성장률은 정치 불확실성에 따른 하향이 예상된다”며 “1분기 기저효과에 관세 여파까지 더해지면 연 성장률은 낮아질 것”이라고 했다.
한은은 향후 관세 협상 등을 살펴본 뒤 5월 수정 전망을 내놓겠다는 방침이다.
한편 한은은 국내 소비자물가가 2% 내외의 안정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했다. 환율은 올랐으나 유가가 하락하고 수요압력이 낮은 데 따른 것이다.
한은 금통위는 지난해 10월과 11월 연속 금리를 인하한 뒤, 올해 1월을 건너뛰고 2월 다시 금리를 내렸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