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전경련, "실버산업이 신성장 동력 되는 신산업 금맥"

글로벌이코노믹

전경련, "실버산업이 신성장 동력 되는 신산업 금맥"

자료 : 전국경제인연합회이미지 확대보기
자료 : 전국경제인연합회
[글로벌이코노믹 김대성 기자] 고령화 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풍부한 경제력과 구매력을 가진 액티브 시니어를 대상으로 한 시니어산업이 신성장 동력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와 대구광역시는 1일 대구 무역회관에서 '100세 청춘 웰에이징 시대! 시니어 산업 육성 세미나'를 개최했다.

2026년에 이르면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초고령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시니어를 위한 제품과 서비스를 공급하는 시니어 산업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건강·미용·자기계발에 적극적인 730만 베이비부머 세대가 시니어 세대로 편입되기 시작하면서 능동적인 소비주체로 부상하고 있다. 주변국의 잠재수요도 충분하다. 2030년에 이르면 한중일 3국에서 4억명에 달하는 시니어 소비기반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주제발표를 맡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경진 수석연구원은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은 저축률 감소로 인한 가계부담 증가와 의료 복지비용 증가, 연금고갈 등으로 인한 신구 세대간 갈등을 야기하는 사회적 위기라고 볼 수 있다"면서 "그러나 막대한 수요가 있는 고령친화산업 발전을 통해 경제문제를 해결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 낸다면 충분히 극복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2015년 시니어 인구가 유아의 3배 이상으로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시니어를 위한 제품도, 인지도 있는 시니어 전문기업도 찾아보기가 어렵다.

인제대학교 양영애 교수는 "고령친화용품은 고령자 특성에 맞게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량 다품종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품질의 고급화와 함께 제품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전경련 이승철 부회장은 "직접 써봐야 필요성을 알 수 있는 시니어 산업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면서 "기존에 설치된 시니어 체험관과 시니어 접근성이 높은 국민연금공단 등 공공기관을 활용해 체험에서부터 구매까지 원스톱으로 가능한 시니어용품 체험·구매센터를 전국에 조성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대성 기자 kim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