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고령사회 실버산업은중 식품이 가장 유망

글로벌이코노믹

고령사회 실버산업은중 식품이 가장 유망

이미지 확대보기


고령사회에 진입하면서 실버산업이 성장하고 그중에서도 식품산업이 가장 유망할 것으로 전망됐다.

5일 산업연구원은 ‘고령친화산업 발전 과제와 시사점’을 통해 우리나라는 지난해 현재 65세 이상 고령자 비중이 14.9%에 달했으며, 2025년에는 20%를 넘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내다봤다.

유소년(0~14세)인구 100명당 65세 인구로 산출하는 노령화지수도 2016년 100.1에서 지난해 119.4로 상승한데 이어 2040년에는 345.7로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초고령 사회는 각종 사회비용 지출 증가에 따른 재정 부담, 고용 불균형 등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지만 ‘고령친화산업’이라는 새로운 성장 잠재력도 갖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가 본격화되면서 전체 소비구조를 주도, 고부가가치 제품·서비스의 수요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이에 따라 고령친화산업 16개 전략품목을 선정·육성하고 있다.

이 시장 규모는 2012년 27조3800억 원에서 연평균 13% 성장해 올해 약 73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령친화산업 중에서는 식품 비중이 23.3%로 여가산업의 34%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유망업종으로 떠올랐다.

고령식품산업 시장 규모는 2012년 6조 원 수준이었으나 2018년 13조6800억 원까지 증가했고 올해는 17조6300억 원에 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고령친화화장품산업도 올해 2조1600억 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정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