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대한항공, 아시아나 인수로 마일리지 사용 문제없어”

글로벌이코노믹

종합

공유
0

“대한항공, 아시아나 인수로 마일리지 사용 문제없어”

항공사 통합 따른 독과점 논란으로 소비자 이익 침해 없어....노선 축소로 항공요금 올리지 않는다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하기로 한 16일 서울 강서구 김포국제공항 국내선 계류장에 아시아나항공 여객기가 대한항공 여객기 사이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하기로 한 16일 서울 강서구 김포국제공항 국내선 계류장에 아시아나항공 여객기가 대한항공 여객기 사이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대한항공이 16일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하면서 이에 따른 마일리지 사용에는 문제가 없을 전망이다.

또한 ‘거대 항공사’ 등장에 따른 독과점 논란과 관련해 소비자 이익이 줄어들 가능성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항공사 통합에 따른 노선 축소로 항공료가 오르는 일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최대현 산업은행(산은) 부행장과 기자단이 나눈 일문일답과 김상도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 브리핑을 토대로 두 국적 항공사 합병 계획에 따른 궁금증을 정리했다.

◇“마일리지 문제는 통합 따른 피해 최소화할 방침 ”


두 항공사가 그동안 각자 운영해온 마일리지 시스템이 통합된다.

두 항공사가 통합되면 마일리지는 같이 사용한다. 아시아나 마일리지는 사용처가 부족해 소비자 불편이 컸는데 이제 대한항공이나 관련 제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오히려 소비자 편익이 증대된다.

또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마일리지 통합 비율은 소비자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선에서 조정할 방침이다.

현재 대한항공 마일리지가 아시아나 마일리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사용금액에 따라 항공사 마일리지가 적립되는 한 신용카드의 경우 대한항공은 1500원당 1마일이 적립되지만 아시아나항공은 1000원당 1마일이 적립된다.

◇“양사 통합 따른 독과점 우려 크지 않아”


두 거대 항공사 통합에 따른 독과점 우려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창궐에 따른 항공업계가 최악의 상황을 맞고 있는 가운데 두 항공사 통합이 독과점으로 이어져 소비자 이익에 침해를 줄 것으로

여기지 않는다. 오히려 노선과 항공 스케줄이 다양화되는 등 소비자 혜택이 더 늘어날 것이다.

◇“노선 축소에 항공요금 상승은 없을 것”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방식이 각자 운영이 아닌 통합으로 결정되면서 장기적으로 두 항공사의 중복 노선은 단일 노선으로 정리될 것으로 보인다.

양측이 통합을 결정한 만큼 수익이 나지 않는 일부 노선은 감축이나 폐지가 될 전망이 크다.

이에 따라 국내 대형항공사(FSC) 시장이 독점 체제로 전환되면서 가격결정권을 가진 대한항공이 항공권 가격을 대폭 올릴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애 대해 정부는 통합 시너지를 살려 소비자가 피해를 보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미주 지역이 그동안 대한항공과 아시아나가 주 3회 같은 날 같은 시간대에 비행기를 운영해 소비자 선택권이 제약받았지만 향후 서로 다른 날 운항하면 소비자 편익이 증가한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또 노선의 급격한 폐지보다는 새로운 노선을 개척하거나 추가 운항이 필요한 노선에 잉여 기관이나 인력 투입해 소비자 피해가 없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소속 저비용항공사(LCC) 운영은 단계적으로 통합”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운영하는 LCC에 대한 대책은 논의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한진 측에서 진에어, 에어부산, 에어서울 3개사를 단계적으로 통합할 계획이다.

3개사가 통합하면 중복 노선 조절, 스케줄 다양화 등 운용 효율성과 소비자 효용 증대가 이뤄진다. 또한 지방 공항에서 출발하는 국제노선, 심야 시간대 스케줄 개발 등 노선 스케줄 조정을 통해 지방 공항 활성화 등이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통합 LCC가 50억 원대 기재를 보유 중이다. 동북아에서는 최대, 아시아에서는 에어아시아 다음으로 큰 규모가 될 전망이다.

◇“항공사 합병 따른 인위적인 구조조정 없다”

산은은 양사 통합후 인력 구조조정이 가장 어려운 부분으로 여기고 있다.

양측 중복 인력이 관리직 등 간접 부문 800∼1000 명에 이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연간 자연감소 인원과 통합작업, 신규 사업에 따른 인력 재배치 등을 감안하면 인위적인 구조조정은 없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이에 관련해 산은은 한진그룹의 확약을 받았다고 강조했다. 이른바 PMI(인수 후 통합전략)로 수용해 고용불안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게 한진측 설명이다.


김민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entlemin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