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국 '여권 파워' 2위…190개국 무비자 여행 가능

글로벌이코노믹

한국 '여권 파워' 2위…190개국 무비자 여행 가능

독일과 공동 2위…1위는 싱가포르·일본

지난해 12월 20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 여권민원실에서 관계자가 보안성·내구성이 강화된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타입의 차세대 전자여권 샘플을 들어보이고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지난해 12월 20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 여권민원실에서 관계자가 보안성·내구성이 강화된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타입의 차세대 전자여권 샘플을 들어보이고 있다. 사진=뉴시스

한국 여권이 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여권 순위 2위에 등극했다. 이에 따라 한국 여권을 제시하면 190여개 국가를 무비자나 간편 입국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11일(현지 시간) CNN 등 외신에 따르면 런던 소재 국제교류 전문업체인 헨리 앤드 파트너스(Henley&Partners)가 발표한 ‘2022 헨리여권지수’에서 한국은 190점을 기록해 독일과 공동 2위에 이름을 올렸다.

‘헨리여권지수’는 전 세계 국가와 속령 227곳 가운데 특정 여권 소지자가 무비자·도착비자·전자비자로 갈 수 있는 수준을 지표화한 순위다.
이번 지수에서 공동 1위를 차지한 국가는 일본과 싱가포르로 192점을 기록했다. 해당 국가 여권을 지닌 사람은 192개 국가를 무비자나 간편한 입국 절차를 통해 여행할 수 있다.

이어 핀란드·이탈리아·룩셈부르크·스페인이 공동 3위, 오스트리아·덴마크·프랑스·네덜란드·스웨덴이 4위에 올랐다.

반면 조사 대상 국가 중 최하위는 아프가니스탄으로 비자 없이 방문할 수 있는 나라는 26개국에 불과하다. 39개국을 방문할 수 있는 북한은 104위에 그쳤으며 네팔을 비롯한 7개국이 뒤를 이었다.

올해 순위에서 도드라지는 특징은 지난 2006년 지수 측정을 시작한 이후 국가 간 이동 격차가 가장 크게 발생했다는 점이다. 이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오미크론 변이가 퍼지면서 부국과 빈국 간 입국 허용 격차가 더욱 벌어졌기 때문이라고 핸리 앤드 파트너스는 분석했다.

지표를 고안한 크리스찬 칼린 헨리 앤드 파트너스 회장은 “국가 간 이주·이민이 자유롭게 허용되는지 여부가 코로나19 대유행 종식 이후 세계 경제 회복에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고 진단하며 "부유한 국가는 전 세계적으로 인적·물적 자원을 재분배하는데 힘써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한국은 지난 2013년 13위까지 하락한 뒤 2018년부터 2~3위로 회복해 최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조하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anicho9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