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에이아이(AI)라는 말이 언론, 정부 정책 발표나 학교, 지역사회 등 많은 곳에서 자주 언급됩니다.
에이아이는 소리는 똑같지만 뜻은 완전히 다른 두 가지로 쓰이는데요.
1. 영어로 Artificial Intelligence
기사 속 사용 예 ‘정부 2025년 유초중고에 AI 교육 전면 도입’
여기서 AI는 ‘인공지능’이라는 뜻으로 유치원과 초중고교에 인공지능 교육을 전면적으로 도입해 가르치겠다는 뜻
인공지능은 도구나 수단, 기술 정도로 인식되었으나 2016년 바둑 9단 이세돌과 ‘알파고’와의 대결로 일반인들의 인식에 제대로 자리 잡기 시작했습니다. ‘알파고’를 계기로 인간과 대결도 가능하고 무한히 발전할 수 있다는 점이 일반에 각인되었습니다.
문제는 이때만 하더라도 언론도 ‘인공지능 알파고’라는 단어를 주로 쓰다가 어느 때부터인지 오히려 ‘에이아이’라는 영어 소리로 후퇴하고 있습니다.
2. 겨울철에 자주 등장하는 말 Avian Influenza를 줄인 AI
우리말로 ‘조류인플루엔자’, 특히 겨울 철새들이 주로 옮기는 전염성 호흡기질환입니다. 인간에게 전염 가능성은 낮으나 치사율이 높습니다.
조류인플루엔자가 유행하면 닭, 칠면조, 오리 등 가금류가 떼죽음을 당해 가격이 치솟습니다. 고병원성과 저병원성으로 나뉘는데 변이가 쉽게 일어나 가장 주의해야 할 가축전염병 중의 하나.
조류독감이라고 쓰기도 하는데, 독감이 사람과 관련된 말로 이를 동물에 쓴다는 데 대해 거부감이 있는 데다 닭, 오리 등의 판매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업계의 요구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조류독감이라는 말은 그 자체로 이해가 쉽습니다.
에이아이는 문맥이나 상황에 따라 의미가 다르기 때문에 인공지능, 조류인플루엔자(조류독감)로 말하는 것이 즉시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입니다.
글로벌이코노믹 이영은 기자 ekdrm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