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 반영 비율 신설·확대, 권역별 투표제 도입 갈등
"비대위 의견 반영 안돼" vs "폐기 과정서 교감 없어"
"비대위 의견 반영 안돼" vs "폐기 과정서 교감 없어"

당 안팎에선 안 위원장의 사퇴를 비상대책위원회 의결 과정에서 전준위가 결정한 전대 룰이 뒤집힌 데 대한 반발로 해석하고 있다. 실제 안 위원장은 "당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있어서 최대한 국민의 의견을 듣고자 당대표 및 최고위원 경선에 국민 여론조사 반영 비율을 신설·확대했다"고 밝힌 뒤 "이 안을 비대위가 폐기했다. 그 과정에서 전준위와 사전교감은 전혀 없었다"고 주장했다.
비대위는 예비경선에서 여론조사 30%를 반영한다는 전준위의 안을 반대했다. 대신 최고위원 선거에서 행사할 수 있는 2표 가운데 1표는 무조건 자신이 속한 권역의 후보에게 투표하는 이른바 '권역별 투표제'를 도입했다. 안 위원장은 반대했다. '투표권 직접 제한의 강도가 가장 높고 거친 방식'이라는 것. 그는 "비대위의 제안대로라면 대의원·권리당원이 다수 있는 지역에서 지역대표 최고위원이 당선될 가능성이 크다"고 비판했다.
논란이 일자 우상호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은 서둘러 봉합에 나섰다. 이날 광주 전남대에서 간담회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다른 견해가 있을 수 있는 것이지 비대위가 전준위를 무시한 것은 아니다"면서 "전준위가 비대위 의견을 반영하지 않고 결정한 면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이틀 전 안 위원장과 조승래 간사가 참석한 비공개 비대위 간담회에서 이견이 나오자 다음날 예정된 전준위 회의에 비대위의 의견 전달을 당부했다.
우 비대위원장은 "비대위가 최종 결정을 내릴 때 안 위원장이 참석하지 못해 섭섭할 수는 있지만, 조 간사가 비대위 토의 과정을 지켜봤다"고 주장했다. 전준위와 사전 교감이 없었다는 안 위원장의 주장을 정면 반박한 셈이다.
권역별 투표를 강제한 데 대해선 불가피성을 강조했다. 지난 10년간 호남·영남·충청권 인사가 지도부에 입성하지 못해 수도권 정당으로 전락하자 지도부가 전국적인 여론을 청취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 다만 우 비대위원장은 전 당원 투표 요구에 대해선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당무위원회에서 충분히 토론하겠다는 게 그의 입장이다.
소미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nk2542@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