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약 규모 3200만 달러…오는 12월부터 탐사 진행
석유공사, 헬기와 선박·잠수정 등 지원 위한 용역 발
석유공사, 헬기와 선박·잠수정 등 지원 위한 용역 발

4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정부와 한국석유공사는 동해 심해 가스전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철통 보안을 위해 석유·가스가 대량 매장됐을 가능성이 높은 가스전 후보지에 대왕고래라는 프로젝트명을 붙였다.
앞서 석유공사는 가스전이 발견될 가능성이 높은 곳으로 추정되는 7개 해역을 정해 각각 해양생물의 이름을 붙였다. 대왕고래는 그 중에서 가스와 석유가 가장 많이 있을 곳으로 추정되는 곳이다.
정부와 석유공사는 올해 말부터 동해 8광구와 6-1광구 북부에 걸친 대왕고래 가스전 후보 해역에서 긴 탐사공을 바닷속 해저 깊숙이 뚫어 실제 석유와 가스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시추 탐사에 나선다.
석유공사는 지난달 초 세계적인 해양 시추업체로 꼽히는 노르웨이 시드릴과 웨스트 카펠라라는 명칭의 시추선 사용 계약을 체결했다. 웨스트 카펠라는 삼성중공업이 지난 2008년 건조한 선박이다.
웨스트 카펠라는 한국에서 약 40일간 머물며 시추 계약을 이행할 예정이다. 계약 규모는 3200만 달러(약 440억9600만원)이며 오는 12월부터 발효된다.
정부는 해저에 석유와 가스가 있을 가능성을 일차적으로 알아보는 물리 탐사 과정을 통해 경북 포항 영일만에서 38~100㎞ 떨어진 넓은 범위의 해역에 가스와 석유가 대량 매장됐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예상 매장 자원은 가스 75%, 석유 25%로 보고 있다.
우리나라의 얕은 동해 대륙븅에서 개발했던 소규모 동해 가스전과 달리 이번에는 수면으로부터 1㎞ 이상 깊이 심해에 있는 유전을 개발해야 해 한번 탐사 시추공을 꽂을 때 1000억원의 큰 비용이 들어간다.
정부는 해외 전문기관으로부터 이번 탐사 시추 성공 가능성이 20% 정도 된다는 결과를 받았는데 이는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는 평가다.
하지만 개발 비용을 아끼기 위해서는 최대한 기존 물리 탐사 데이터를 과학적으로 분석해 최적의 후보지를 선정한 뒤 탐사를 효율적, 경제적으로 진행해야 한다.
석유공사는 이르면 올해 11월, 늦어도 12월께 대왕고래의 유망 구조에서 시추 작업을 시작하는 것을 목표로 탐사선과 투입 인력 확보에 나섰다. 또한 석유공사는 시추선을 확보한 것과 별개로 지원 헬기, 선박, 잠수정, 시추 감독관 파견 등에 관한 용역도 발주해 일부 계약을 체결하는 등 연말 시추 작업 개시를 위한 속도를 내고 있다.
탐사 시추가 실시되면 자원의 실제 부존 여부와 부존량을 일차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데 이때 대왕고래의 성공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심해 유전·가스전의 경우 개발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충분한 자원 매장량 확보가 개발 경제성을 판가름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매장량에 따라 비용은 달라지는 데 내부적으로는 개발 비용도 어느 정도 범위로 예상하고 충분히 경제성이 있다고 본다"며 "인접한 한국, 일본, 중국 3국이 터미널, 액화 설비 등 충분한 액화천연가스 인프라를 가진 상황에서 추가 비용이 적은 것도 유리한 점"이라고 설명했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