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고 내 전기 끊어지며 FDR·CVR 먹통된 것으로 추정
양쪽 엔진서 겨울철새인 가창오리 때 유전자 확인
로컬라이저 둔덕과 조류 영향 별도 용역 의뢰 예정
제주항공 사고 여객기는 충돌 직전 무안국제공항 관제탑으로부터 '조류 활동 경고'를 받은 뒤 1분 만에 블랙박스 기록이 중단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위원회(이하 항철위)는 설명했다.양쪽 엔진서 겨울철새인 가창오리 때 유전자 확인
로컬라이저 둔덕과 조류 영향 별도 용역 의뢰 예정
25일 항철위는 전라남도 무안국제공항에서 사고 유가족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고 조사 진행 현황과 향후 계획을 발표했다.
항철위는 사고기 블랙박스인 비행기록장치(FDR)과 조종실 음성기록장치(CVR), 관제탑 교신 기록 등을 동기화하고 분석해 재구성한 충돌 직전 상황을 초 단위로 공개했다.
사고기는 지난달 29일 오전 8시 54분 43초 공항 관제탑과 착륙 접근을 위해 처음 교신했다. 당시 관제탑은 사고가 발생한 활주로의 반대 방향인 01활주로로 착륙을 허가했다.
58분 50초부터 FDR과 CVR의 기록은 동시에 중단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직전에 사고기의 양쪽 엔진이 조류와 충돌한 영향으로 기내에 전원 공급이 중단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항철위는 설명했다.
당시 사고기는 속도 161노트로 약 151m의 낮은 고도에서 비행 중이었다.
이어 58분 56초 조종사가 복행하면서 관제탑에 조류 충돌로 인한 메이데이를 선언했다. 이는 녹음이 남아 있지 않아 항철위가 관제 기록과 동기화를 통해 추정한 시간이다.
무안공항 폐쇄회로(CC)TV에는 항공기가 복행하던 중 새떼와 접촉하는 장면이 포착됐다. 영상에는 불꽃이나 연기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기체가 다수의 조류와 부딪힌 것으로 파악된다고 항철위는 분석했다.
사고기는 이후 약 4분간 활주로 왼쪽 상공을 비행하다 반대 방향인 19활주로로 착륙하려 오른쪽으로 선회했다. 하지만 랜딩기어가 내려오지 않은 상태로 동체 착륙했고 9시 2분 57초에 활주로 너머 로컬라이저 둔덕과 충돌했다.
또한 사고기 양쪽 엔진에서는 새 깃털과 혈흔이 발견됐다. 환경부 산하 국립생물자원관이 유전자 분석을 진행한 결과 엔진에서 겨울철새인 '가창오리'가 확인됐다. 가창오리는 떼로 날아다니는 군집성이 강한 종이다.
항철위는 다만 조류 개체 수나 다른 종류의 조류가 포함됐는지 알수 없다며 엔진 상태 확인 및 추가 시료 채취를 위해 엔진을 분해 검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엔진 제작국인 플랑스의 조사 당국인 항공사고조사위원회(BEA)와 지난 14일부터 협력해 사고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아울러 항철위는 국제민간항공협약에 따라 사고 발생 30일째인 오는 27일 이전에 사고 관련국과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 예비보고서를 제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해당 보고서는 항철위 홈페이지에도 공개된다.
항철위는 잔해 정밀 조사와 비행 기록 문서 확인 등을 통해 사고기 운항 전반에 대해 분석을 이어갈 계획이다. 긴급 안전 조치가 필요한 경우 즉시 항공사 등에 안전권고를 내릴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조사와 분석이 필요한 로컬라이저 둔덕 및 조류 영향에 대한 부분은 국내 기관에 별도의 용역을 의뢰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항철위 관계자는 "그간 현장에서 긴박하게 초동 조치·조사에 임했으나 이제부터는 운항·정비 등 그룹별로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차근차근 세부 사항을 분석해 철저히 조사할 예정"이라며 "모든 과정을 공정하게 진행해 정확한 사고 원인 규명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