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드타운 전락 우려 없어…도시지원시설 통해 자족 기능 강화”

16일 시에 따르면 박 전 시장은 호소문에서 "도시첨단산업단지는 공업지역뿐만 아니라 준주거지역에도 지정이 가능하다"며, "화성 동탄2 신도시에서 약 15만㎡ 규모의 준주거지역에 도시첨단산업단지가 조성된 사례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과밀억제권역 내 공업지역 물량이 필요하다면, 경기도 내 전체 물량에서 구리 토평으로 배정을 받을 수 있다"며, "만약 도시첨단산업단지가 지정되지 않으면 토평2 공공주택지구는 베드타운으로 전락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구리시 “과밀억제권역 내 공업지역 신규 지정 불가능”
이에 대해 구리시는 공식 입장을 통해 박 전 시장의 주장이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구리시는 수도권정비계획법 제7조에 따라 과밀억제권역에서는 공업지역의 신규 지정이 불가능하며, 법적으로 준주거지역에 도시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할 수 없다고 밝혔다.
또한, 박 전 시장이 사례로 든 화성 동탄2 신도시와 남양주 왕숙 공공주택지구는 성장관리권역에 속한 지역으로, 규제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아 과밀억제권역인 토평2지구와 동일한 방식으로 비교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도시지원시설용지 활용해 자족 기능 확보”
구리시는 토평2 공공주택지구의 개발이 단순한 주거 중심의 베드타운으로 전락하지 않도록 도시지원시설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토평2 공공주택지구 내 도시지원시설용지에는 회의장, 전시장, 교육원, 연구소, 업무시설, 상업시설 등이 허용될 예정"이라며, "이를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기업 유치와 상업 기능을 강화해 자족 기능을 충분히 확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리시는 특히, 고덕강일공공주택지구의 사례를 언급하며 "고덕강일지구에서도 도시지원시설용지가 상업 및 업무시설 중심으로 개발됐으며, 지식산업센터는 1개소에 불과하다"고 강조하며, 토평2지구 역시 베드타운화될 가능성이 낮다고 주장했다.
기업 유치 위한 지속적 협의 진행 중
아울러 구리시는 공업지역 물량 확보를 위해 경기도 및 관련 부서와 지속적으로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올해만 두 차례에 걸쳐 공업지역 물량 확보를 위한 협의를 추진했으며, 지난해 7월에는 ‘수도권 규제개선(완화) 권역별 간담회’에서 과밀억제권역 지정으로 인해 기업 유치가 어려운 현실을 설명하고, 규제 완화를 건의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백경현 구리시장은 "토평2 공공주택지구는 우수한 교통망과 입지적 장점을 갖춘 지역으로, 기업 유치에 유리한 환경을 지니고 있다"며, "이를 활용해 상업, 업무 등 도시 필수 기능이 집약된 '직주락(職住樂) 복합도시'로 조성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최적의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영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v40387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