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부산 반얀트리 호텔 ‘유사화재’ 급증…공사장 가연물 관리 ‘주의보’

글로벌이코노믹

부산 반얀트리 호텔 ‘유사화재’ 급증…공사장 가연물 관리 ‘주의보’

매년 500건 안팎 발생…단열재 불에 타면 ‘시야 확보’ 어려워
부산 기장군 반얀트리 호텔 신축공사장 화재 현장 모습.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부산 기장군 반얀트리 호텔 신축공사장 화재 현장 모습. 사진=연합뉴스.
최근 부산 기장군 반얀트리 호텔 신축공사장 화재처럼 불에 타기 쉬운 가연물이 많은 공사장에서 화재가 날 경우 피해가 급속히 확산해 현장에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15일 소방청에 따르면 이 같은 공사장 화재는 최근 5년간(2020∼2024년) 총 2732건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2020년 599건, 2021년 559건, 2022년 657건, 2023년 516건, 2024년 401건으로, 매년 500건 안팎이 발생했다.

이 기간 공사장 화재로 인한 사망자는 46명, 부상자는 202명으로 파악됐다. 이번 부산 호텔 공사장 화재로 인한 희생자는 최소 6명으로, 사망자 수로는 이미 2021년 이후 최다를 기록했다.
이 기간 재산 피해 규모는 686억8299만 원이다. 연도별로는 2020년 188억6000여만 원, 2021년 92억3000여만 원, 2022년 229억3000여만 원 2023년 56억3000여만 원, 2024년 120억1000여만 원이다.

이번 화재는 건물 1층 수영장 인근의 단열재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단열재가 불에 탈 경우 유독가스와 함께 시야를 가리는 검은 연기가 대량 방출되는 경우가 많아 인명피해로 이어지기 쉽다.

소방당국은 △ 용접작업 시 불티가 단열재에 들어가지 않도록 비산 방지 덮개와 용접 방화포 설치 △ 화재 예방과 초기 조치를 위한 필수 소방기구 비치 △ 작업장 주변에 탈 수 있는 물질 제거 등을 당부했다.

소방청 관계자는 “작업장 내 특정 지역을 지정해 흡연하고, 폭발이나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서는 화기 취급을 금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ong@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