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고양시의회, 식사동 데이터센터 건립 반대 촉구 결의안 통과

글로벌이코노믹

고양시의회, 식사동 데이터센터 건립 반대 촉구 결의안 통과

"환경 피해·생태계 훼손 우려… 주민 삶 보호해야"
고양특례시의회 임홍열 의원. 사진=고양시의회이미지 확대보기
고양특례시의회 임홍열 의원. 사진=고양시의회
고양시의회가 식사동 데이터센터 건립에 대한 강한 반대 입장을 공식화했다. 임홍열 의원이 대표 발의한 ‘고양시 식사동 데이터센터 건립 반대 촉구 결의안’이 20일 열린 제291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최종 의결됐다.

이번 결의안은 데이터센터 건립이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 도시 미관 훼손 등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마련됐다. 특히, 식사동 인근에는 이미 다수의 환경 유해시설이 존재하며, 추가적인 개발이 주민들의 주거 환경을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임 의원은 건설교통위원회 안건 심사 과정에서 “식사동은 이미 신성레미콘, 대봉, 인선이앤티 등 다수의 환경 유해시설이 밀집한 지역”이라며, “미세먼지가 다량 유입되는 상황에서 대기질 개선과 열섬 현상 완화 역할을 하는 숲을 없애면서까지 데이터센터를 건립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강하게 반대 의견을 밝혔다.

또한, 데이터센터 입지 예정 부지의 생태적 가치에 대한 문제도 제기됐다. 임 의원은 생태학자들과 현장을 답사한 결과, 해당 숲과 인근 지역에서 너구리, 오색딱따구리, 말똥가리, 직박구리, 유리딱새 등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는 것이 확인됐으며, 특히 천연기념물 노랑부리저어새가 견달천 인근에서 목격되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러한 자연환경을 도시숲으로 유지하고 보존하는 방안을 강구하지 못할망정, 기존 생태계를 파괴하면서까지 데이터센터를 건립해야 하느냐”라고 반문했다.
뿐만 아니라, 임 의원은 “해당 숲은 도심 비오톱(도시 생태계 내 중요한 녹지 공간)으로 활용 가치가 충분하다는 전문가 의견이 있다”며, 도시 내 녹지 공간 보존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도시 미관 및 주거 환경 문제도 쟁점이 됐다. 임 의원은 “데이터센터 입지 예정 부지는 인근보다 지대가 높은 곳이기 때문에, 건물이 들어설 경우 도시미관과 인근 주민들의 조망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우리 시와 같은 특례시인 용인시는 데이터센터 건립 예정지 인근에 주택과 초·중등학교가 있어 시민들의 정온한 주거 및 교육 환경을 보호해야 한다는 이유로 건축 허가를 불허했다"며, "고양시 역시 동일한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데이터센터 건립 예정지로부터 194m 거리에 초등학교, 54m 거리에 대규모 공동주택 단지가 위치해 있어, 주민 생활권 보호를 위해 건축 허가를 불허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번 결의안 통과로 인해 식사동 데이터센터 건립을 둘러싼 논란이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고양시가 이번 시의회의 결의안을 바탕으로 어떤 정책적 결정을 내릴지, 주민과 기업 간의 갈등을 어떻게 조율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강영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v40387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