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구리시 서울 편입 추진 반발 GH 이전 절차 중단
구리시 “황당한 결정” 실망…경기북부 발전 계획에 균열
구리시 “황당한 결정” 실망…경기북부 발전 계획에 균열

경기주택도시공사(GH)의 구리시 이전이 경기도의 전격적인 중단 결정으로 좌초될 위기에 놓였다. 경기도는 구리시가 서울 편입을 추진하는 한 GH 이전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절차를 전면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반면 구리시는 서울 편입 논의와 GH 이전은 별개 사안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이 같은 결정은 경기북부 균형 발전을 목표로 추진된 공공기관 이전 정책에 중대한 변화를 예고하며, 구리시는 물론 경기북부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GH 이전, 기대에서 좌절로…1만 명 서명도 무용지물?
23일 시에 따르면 GH 이전은 지난 2021년 공모를 통해 결정됐다. 구리시는 경기북부 균형 발전을 위해 GH 이전이 필요하다는 논리를 내세웠고, 10개 시·군과의 경쟁에서 최종 대상지로 선정됐다. 구리시민 1만 명이 넘는 주민들이 서명운동에 참여하며 GH 이전을 적극 지지했고, 연간 80억 원에 달하는 지방세 증대 효과와 655명의 직원 유입, 연간 1만5000명 방문객 증가 등 지역 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가 컸다.
서울 편입 추진이 GH 이전 중단 사유 될 수 있나?
경기도의 입장은 단호하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구리시가 서울 편입을 추진하는 한 GH 이전을 백지화하라"고 지시했고, 경기도는 이를 실행에 옮겼다.
그러나 서울 편입 추진이 실제로 GH 이전과 충돌하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크다. 서울 편입은 정부 차원의 행정구역 개편 논의 속에서 장기적으로 검토될 사안이며, 당장 현실화될 가능성은 낮다. 반면 GH 이전은 이미 확정된 사업으로, 경기북부 발전을 위한 정책적 조치였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번 조치가 서울 편입 논의에 대한 경기도의 강한 경고 메시지라는 분석도 나온다. 경기북부의 성장 잠재력을 강조해 온 경기도가 구리시의 독자적인 행보를 용납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결정이 경기북부 전체의 균형 발전이라는 더 큰 목표와 충돌하는 것은 아닌지 의문이 제기된다. 경기북부 발전을 위해 GH 이전이 필요하다는 논리는 여전히 유효하며, 서울 편입 추진 여부와 무관하게 구리시가 공모를 통해 공정하게 확보한 사업을 일방적으로 중단하는 것이 과연 적절한지에 대한 논쟁도 불가피해 보인다.
정치적 해석 속 시민들의 실망감 커
이번 결정에 대해 구리시민들의 반응은 실망에 가깝다. GH 이전을 기대하며 적극적으로 유치 활동을 벌여온 시민들 입장에서는 서울 편입 논의가 예상치 못한 변수로 작용하며 모든 계획이 흔들리는 상황이 당혹스러울 수밖에 없다.
구리시에 거주하는 한 시민은 "경기도가 북부 균형 발전을 외치면서도 결국 서울 편입 논의를 이유로 구리시를 배제하는 것처럼 보인다"며 "정책 일관성이 없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또 다른 시민은 "GH 이전은 경기북부를 발전시키기 위한 사업이었는데, 정치적 이유로 좌초될 위기에 처한 것이 아쉽다"며 "서울 편입이 논의된다고 해서 당장 행정구역이 바뀌는 것도 아닌데, 경기도가 너무 성급한 결정을 내린 것 같다"고 말했다.
앞으로의 전망…GH 이전 재개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GH 이전이 재개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경기도는 강경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으며, 구리시도 서울 편입 추진을 중단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GH 이전을 둘러싼 논란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경기도와 구리시간 갈등이 더욱 깊어질 가능성도 있다. 또한 경기북부 균형 발전을 목표로 추진된 공공기관 이전 사업이 이번 사건을 계기로 제동이 걸릴 수도 있어, 경기도의 향후 행보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결국 이 문제는 단순한 행정 조치가 아니라 정치적, 정책적 판단이 얽힌 복잡한 사안으로 보인다. GH 이전이 정말 서울 편입 논의와 충돌하는 것인지, 아니면 정치적 계산이 개입된 것인지에 대한 논의는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
강영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v40387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