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청렴도 평가 낮은 등급 반성…교육·제도 개선 통해 신뢰 회복 나서

24일 고양시의회에 따르면 국민권익위원회의 종합청렴도 평가는 전국 243개 지방의회를 대상으로 실시된다. ▲청렴체감도 ▲청렴노력도 ▲부패실태 등을 기준으로 지방의회의 청렴 수준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이번 평가에서 고양특례시의회는 청렴체감도 부문에서 5등급을 기록하며 낮은 평가를 받았다. 청렴체감도는 시민, 단체, 시 집행부 직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산출되며, 의회의 청렴성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반영된 결과다.
이에 대해 김운남 의장은 “여야 간 정치적 갈등과 시 집행부 견제 과정에서의 오해가 시민들에게 부정적으로 비춰진 것으로 보인다”며, “청렴은 의회 운영의 핵심 가치이며, 단순한 목표가 아닌 실천해야 할 기본 원칙”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청렴 교육 강화, 이해충돌 방지 제도 이행, 의정활동 투명성 제고 등을 골자로 한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최근 고양시의회를 겨냥한 일부 노조 측의 현수막에 대해서도 김 의장은 우려를 표했다. 그는 “‘시의원 가족 챙기기만 급급하지 말고 시민부터 챙기라’는 등의 주장은 청렴도와 무관한 억측”이라며, “오히려 시민들에게 오해를 부추기는 행위로, 시의회의 개선 의지와 배치된다”고 지적했다.
김운남 의장은 “이번 청렴도 평가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신뢰받는 의회로 거듭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청렴이 고양특례시의회의 핵심 가치가 될 수 있도록 모든 의원과 직원이 함께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고양특례시의회의 이러한 노력이 시민들의 신뢰를 회복하고, 지방의회의 청렴한 운영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강영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v40387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