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아 수 증가율 18.9%로 전국 1위 유지
인천시, ‘아이(i) 시리즈’ 정책 실효성 입증
인천시, ‘아이(i) 시리즈’ 정책 실효성 입증

30일 인천시와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2025년 1월 기준 인천시의 출생아 수는 1547명으로 전국 출생아 수 2만 3947명의 6.5%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 동월(2024년 1월) 대비 18.9%, 전월(2024년 12월) 대비 31.3% 증가한 수치로 타 시도의 경우 광주가 17.7%, 울산이 17.4% 증가했다.
전국적으로도 출생아 수가 전년 동월 대비 11.6% 증가했는데 인천이 단연 1위로 부상해 자치단체 중 희망을 주고 있는 선두주자란 점이 '아이(i) 시리즈' 정책이 됐다.
이러한 인천시의 증가 추세는 ‘아이(i) 플러스 1억드림’, ‘아이(i) 플러스 집드림’, ‘아이(i) 플러스 차비드림’ 등 인천형 저출생 정책 효과로 분석이 된다.
임산부 교통비 50만 원, 1세~18세 맞춤형 양육비 등 효과
지난해부터 시행된 ‘아이(i) 플러스 1억드림’은 임산부 교통비 50만 원 지원, 1세부터 18세까지 연령별 맞춤형 양육 지원금 제공 등을 통해 출산·육아 부담을 완화하는데 기여했다.
올해 3월부터 접수를 시작한 ‘천원주택’(월 3만 원 임대료) 지원을 중심으로 한 ‘아이(i) 플러스 집드림’과 출산 부부의 교통비를 지원하는 ‘아이(i) 플러스 차비드림’ 정책도 시행됐다.
특히, 청년층의 결혼과 출산·양육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출생아 수 증가에 기여하고 있다는 것이다. 유정복호 아이(i) 시리즈 정책은 전국적인 출산율 견인차 정책이 됐다.
인천시는 출생률 증가세를 지속하기 위해 지난 3월 13일 ‘아이(i) 플러스 이어드림’, ‘아이(i) 플러스 맺어드림’, ‘아이(i) 플러스 길러드림’ 등 저출생 대응 정책 3종을 추가로 발표했다.
이를 통해 청년들의 만남과 결혼을 장려하고, 공공 보육 시스템을 강화해 양육 과정에서 발생하는 돌봄 공백을 해소하는 등 단순한 출산 장려를 넘었다.
‘만남·결혼·양육’까지 체계적 공공 지원 정책 확대
특히 ‘만남·결혼·양육’까지 체계적인 지원이 가능하도록 정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향후 노인 정책 등도 다각적으로 검토된 것으로 유정복 인천시장 기자회견에서 확인됐다.
시현정 시 여성가족국장은 “지난해 6월부터 인천시가 출생아 수 증가율 전국 1위를 유지하고 있는 것은 ‘아이(i) 시리즈’ 정책의 실효성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지속 추진해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를 만들어가겠다”라며 “시는 정책 개발에 더욱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저출생 문제는 개별 지자체의 노력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만큼, 인천시는 중앙정부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최재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cjm990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