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관급' 이복현 원장 돌출행동에 여당과 갈등 폭발
이 원장은 김병환 금융위원장과 갈등설도 커져
이 원장은 김병환 금융위원장과 갈등설도 커져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F4 회의) 멤버인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시장 상황을 고려해 강하게 말렸다고 알려졌다. 이에대해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당연히 사직서를 제출하고 짐 싸서 청사를 떠나라“고 직격해 입장차가 큰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 원장은 2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김병환 금융위원장에 사의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문제의 발단으로 상법개정안이 거론되고 있다.
상법개정안은 이사의 ‘충실 의무’ 대상을 회사에서 전체 주주로 확대한다는 내용이 골자로, 더불어민주당이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목적으로 발의한 법안이다.
이 원장은 상법개정안 거부권 행사를 두고 “직을 걸고서라도 반대한다”고 했지만,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가 전날 여당의 거부권 요청을 받아들이면서 거부권이 최종 행사됐다.
이 원장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상법개정안에 재의요구권을 행사한 데 대해 “정부 내에서 논의될 것들이 밖으로 불거져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어 “금융위 설치법상 금융감독원장에 대한 제청권자가 금융위원장”이라며 “최근 위원장께 연락을 드려 제 (사의) 입장을 말씀드렸다”고 덧붙였다.
다만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F4 회의) 멤버들이 시장 상황을 고려해 강하게 말렸다고 이 원장은 밝혔다. 그는 “제 소식을 들으셨는지 부총리님이나 한국은행 총재께서 연락을 주셔서 시장 상황이 어려운데 사의는 안 된다고 말렸다”고 했다.
이어 “오늘 밤 미국에서 상호관세 발표를 해서 내일 아침에 F4 회의를 한다. 새벽에 보자고들 하시더라”고 말했다.
향후 거취는 사실상 탄핵선고 이후에 밝힌다는 입장이다.
그는 “4일 (탄핵선고에) 대통령이 오시는지 안 오시는지 무시할 수 없다”며 “임명권자가 대통령인 이상, 입장표명을 할 수만 있다면 대통령께 말씀드리는 게 제일 현명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와관련 권 원내대표는 이날 이 원장에 대해 "당연히 사직서를 제출하고 짐 싸서 청사를 떠나는 게 공인의 올바른 태도이고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는 태도"라고 직격했다.
이어 "(상법 개정안) 거부권이 행사될 경우 직을 걸겠다고 입장을 표명했으면, 그것도 일반 공무원이 아닌 고위 공무원이 그 정도 발언을 걸었으면 사의를 표명하고 반려할 걸 기대해서 안 된다"고 강조했다.
임광복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c@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