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박성호 부산진해경자청장, 주부산일본국총영사와 우호 협력 外

글로벌이코노믹

박성호 부산진해경자청장, 주부산일본국총영사와 우호 협력 外

21일 박성호 청장(사진 오른쪽)이 주부산일본국총영사와 우호협력 다짐했다. 사진=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이미지 확대보기
21일 박성호 청장(사진 오른쪽)이 주부산일본국총영사와 우호협력 다짐했다. 사진=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 한일 경제교류 가교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청장 박성호, 이하 경자청)은 21일 주(駐)부산일본국총영사관을 방문해 오츠카 츠요시 총영사와 환담을 나눴다고 밝혔다.

이번 만남은 부산·경남권 일본기업들과의 협력 강화 및 한일 간 신뢰 증진의 계기로 주목받고 있다.

박성호 청장은 과거 주일대사관 자치협력관을 지낸 한일 지방교류 전문가로 이번 방문 역시 글로벌 공급망 재편 속 실질적 ‘경제 외교’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박 청장은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큰 시기일수록 지역의 전략적 파트너십이 중요하다”라며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은 일본기업들이 아시아 물류 거점으로 확보할 수 있는 최적지”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기업이 물류창고를 짓는 일도, 정부가 규제를 푸는 일도 결국 기업과의 대화가 시작이라 생각한다. 총영사관이 일본 우수 기업들과 저희 자유구역 간의 가교 역할을 해주시길 바라며, 다양한 정보와 기회를 지속적으로 공유해주시길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

이에 오츠카 총영사는 “부산·경남과 일본은 지리적·경제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이어오고 있으며 협력의 여지는 앞으로도 많다고 본다”라며 “총영사관도 유관 기업 및 기관과의 소통을 지속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현재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에는 72개의 일본기업이 입주해 있으며, 누적 투자액은 3억 6000달러에 달한다. 특히 미쓰이소꼬코리아(주), 나이가이부산, 코쿠사이익스프레스 등 주요 물류기업의 추가 투자가 잇따르면서 구역의 ‘글로벌 커피물류 허브’와 ‘Tri-Port 프로젝트’가 본격화되고 있다.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내 부산항 신항 전경이미지 확대보기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내 부산항 신항 전경


■ “관세, 국내 복귀 고민?… 해법은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청장 박성호, 이하 경자청)이 미국의 관세정책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재편 흐름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국내 복귀기업(리쇼어링 기업)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고 21일 밝혔다.

최근 세계 각국은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한 보호무역주의 기조를 강화하고 있으며, 미국과 중국은 상호 관세 인상을 단행하며 무역전쟁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단기적인 현상을 넘어 중장기적인 글로벌 경제 패러다임의 변화로 인식되고 있으며 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공급망 리스크 분산을 위한 구조조정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경자청은 이 같은 글로벌 불확실성 속에서도 기업의 투자 매력도를 높이기 위해 각종 규제 완화 및 제도 개선에 집중하고 있다. 최근 웅동지구의 고도제한을 40m에서 60m로 완화하고 재투자 기업에 대한 항만배후단지 임대료 감면 기간을 연장하는 등 실질적인 입주기업 지원책을 추진 중이다.

특히 경자청은 국내 복귀 수요가 많은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을 대상으로 5월 한 달간 현지 한인 언론매체를 활용한 집중 홍보를 전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급변하는 국제통상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국내 복귀기업 지원제도를 적극 안내해 유치 가능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한편, 국내 복귀기업에 제공되는 주요 인센티브로는 투자 및 이전 보조금, 법인세 및 관세 감면, 고용창출 장려금, 구조조정 컨설팅, 보증 및 보험 지원, 시설투자금 등 금융 지원, 스마트공장 구축 및 R&D 지원, 지식재산권 보호 지원 등이 있으며, 기업의 국내 안착을 위한 다양한 맞춤형 지원이 포함되어 있다.

박성호 청장은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은 세계 2위 환적항이자 글로벌 복합물류의 중심지인 부산항을 배경으로 뛰어난 입지적 강점을 지닌 곳”이라며 “불확실한 대외 경제 여건 속에서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는 역발상의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며, 앞으로도 기업들이 안심하고 투자할 수 있도록 규제 해소와 지원체계 강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강세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emin382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