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고양시 장항습지, 4년째 방치…손동숙 의원 “지뢰 제거·생태 복원 시급”

글로벌이코노믹

고양시 장항습지, 4년째 방치…손동숙 의원 “지뢰 제거·생태 복원 시급”

람사르 습지 등록 이후 지뢰 사고 잇따라…관계기관 무책임 비판
고양특례시의회 손동숙 의원. 사진=고양시의회이미지 확대보기
고양특례시의회 손동숙 의원. 사진=고양시의회
고양특례시의회 손동숙 의원(국민의힘, 마두1·2동·장항1·2동)이 제294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장항습지의 지뢰 사고와 생태 훼손 문제를 강하게 지적하고, 실질적이고 종합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28일 고양특례시의회에 따르면 손 의원은 "고양시의 천혜 자연유산인 장항습지가 지뢰 사고 이후 4년 넘게 사실상 방치돼 있으며, 관계기관들은 명확한 책임 없이 책임 회피에만 급급한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지뢰 제거를 위한 실질적 조치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어, 습지 생태계는 급속히 황폐화되고 있으며, 지역 주민과 생태 활동가들의 안전도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장항습지는 국내 최대 규모의 버드나무 군락지를 품은 생태 자원으로, 풍부한 생물다양성과 보전 가치를 인정받아 2021년 5월 국내 24번째 람사르 습지로 등록됐다. 그러나 등록 직후 발생한 대인지뢰 폭발 사고로 인해 탐방로가 전면 폐쇄됐고, 환경정화 및 생태복원 활동 역시 중단되면서 생태관광과 교육자원으로서의 기능을 사실상 상실한 상태다.

손 의원은 현재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첨단 지뢰 탐지 기술과 전문 인력을 활용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지뢰 제거 활동 전개 △관계기관 간 협력 체계 구축 및 실효성 있는 종합대책 마련 △지뢰 제거 완료 구간과 위험 지역 간 명확한 경계 설정 및 탐방로 안전관리 강화 △장항습지를 생태관광 자원으로 육성하기 위한 장기적 비전 마련 등을 강력히 요청했다.
특히 손 의원은 전북 고창의 운곡람사르습지를 사례로 언급하며, “장항습지 역시 우수한 생태 보전 가치를 바탕으로 충분한 생태관광 자원으로 성장할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며, “친환경 탐방 인프라 구축과 지역 주민 주도의 생태 체험·교육 프로그램 연계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환경 보전의 선순환 구조를 실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끝으로 손 의원은 “장항습지는 미래 세대를 위한 소중한 교육자원이자 고양시가 보존해야 할 중요한 자연유산”이라며, "더 이상의 방치는 생태계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하고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만큼, 고양시가 책임 있는 행정 주체로서 조속하고 실질적인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장항습지는 2006년 습지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생태계 복원을 추진해왔으며, 현재까지 총 4건의 지뢰 사고 및 발견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강영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v40387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