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김대호의 포춘500 경영전략] 월마트(Walmart)의 ELDP, "세일은 없다"?

글로벌이코노믹

[김대호의 포춘500 경영전략] 월마트(Walmart)의 ELDP, "세일은 없다"?

매일 세일보다 더 싼 가격을 보장한다는 월마트의 광고 이른바  'ELDP' 전략이다. 월마트가 세계 최대의 유통업체로 부상한 가장 큰 비결이 바로 EDLP에 있다./사진=뉴시스 제휴  이미지 확대보기
매일 세일보다 더 싼 가격을 보장한다는 월마트의 광고 이른바 'ELDP' 전략이다. 월마트가 세계 최대의 유통업체로 부상한 가장 큰 비결이 바로 EDLP에 있다./사진=뉴시스 제휴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 소장] 샘 월턴이 월마트를 창업하면서 내건 기치는 ‘Everyday Low Price’이다. 하루도 빠짐없이 언제나 가장 싼 가격으로 제공하겠다는 뜻이다. 경영학에서는 이를 'EDLP' 혁명으로 부른다. Everyday Low Price에서 각 단어의 앞 글자와 'day'의 ‘D'를 합성한 것이다. 매일같이 싼 가격을 보장한다는 의미에서 'day'의 ‘D'는 앞 글자가 아니지만 포함시켰다.

창업주 샘 월턴은 유통업계의 세일에 비판적이었다. 세일을 자주하면 고객들이 세일 때만 노려 평소에는 구매를 잘하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유통업체의 매출이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이 다. 월마트는 창업 이래 단 한 번도 세일을 하지 않았다. 그 대신 매일 세일가보다도 더 싼 가격으로 팔겠다는 황당한(?)구상을 하고 나섰다. 그것이 바로 매일 싼 가격 (Everyday Low Price)을 보장하는 EDLP이다.
월마트 재무상태표 이미지 확대보기
월마트 재무상태표


아무나 ELDP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자칫 잘못하면 적자도산하기 십상이다. 남보다 싸게 팔려면 원가와 유통 코스트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나름의 묘책이 있어야 한다. 월마트는 최저가 보장을 위해 독특한 전략을 마련했다.

그 첫 번째 전략이 이익은 박리다매(薄利多賣)이다. 유통마진을 왕창 줄이는 것이다. 마진을 최대한 낮게 함으로써 고객을 최대한 많이 유치, 매출을 늘리는 방식이다. 샘 월턴과 월마트는 박리다매 경영의 새 장을 연 현대판 박리다매의 창시자이자 종결자’로 평가받고 있다.
두 번째 전략은 변두리점포이다. 땅 값이 싸고 주차가 편한 도시 외곽지역에 큰 규모의 매장을 지어 규모의 경제를 추구했다. 고객이 집중적으로 몰려있는 도심 한복판이나 주택가 밀집지역을 버리고 일부러 변두리로 나가 매장을 연다는 것은 당시로서는 아무도 상상조차하지 못한 혁명이었다.

월마트 현황 이미지 확대보기
월마트 현황
세 번째는 제조업체를 ‘을’로 만드는 것이다. 수많은 점포를 세워 동시에 구매를 함으로써 그 구매력으로 제조업체에게 납품가격 인하를 압박하는 것이다. 또 기존에 나와 있는 상품이외에 새로운 상품 아이디어를 만들어 그 제품을 만들 제조업체를 찾기도 한다. 이런 방식으로 원가를 떨어뜨린다.

‘EDLP’ 의 네 번째 전략은 인공위성이다. 26년 전인 1989년 우주공간에 인공위성을 쏘아 올렸다. 이 인공위성을 통해 전 세계 점포의 판매와 재고를 통합운영하고 있다. 특정 상품의 재고가 동이 나면 인근 점포에서 바로 보충한다.

다섯 번째 전략은 직원 ‘쥐어짜기’이다. 월마트 직원의 보수는 업계 최저수준이다. 월마트 직원의 근로시간은 가장 긴 편이다. ‘저임금 고노동’의 악조건 속에서도 불과 수년전까지 노조도 없었다. 근로자들 사이에서는 ‘직원의 고혈을 빨아 제품가격을 낮추는 악덕기업’이라는 악평이 나돈다.

월마트 경영진은 이 평가를 즐겼다. 그런 소문이 날수록 고객들은 더 몰려올 것이라고 여겼다. 실제로도 직원을 쥐어짤수록 판매량은 더 늘었다. 샘 월턴은 생전에 근로처우와 관련한 비판여론에 대해 “세계최고의 월마트에 근무했다는 사실만으로도 다른 직장에 좋은 조건으로 얼마든지 옮겨갈 수 있다”면서 “ 월마트에서는 경력을 쌓고 돈은 다른 회사에 가서 벌어라”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최근에 최저임금을 올리겠다고 발표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지만 월마트에서 근로자는 가격을 낮추기 위한 도구일 뿐이다.

월마트의 가격은 그 어떤 다른 업체 점포보다 싸다. 만약 다른 점포에 싼 제품이 나타나면 월마트는 이미 판 상품도 그 차액만큼 다시 할인해준다. 월마트의 성장비결은 바로 이 싼 가격에 있다.
월 마트 내부  이미지 확대보기
월 마트 내부



김대호 연구소 소장/ 경제학 박사 tiger8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