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차이나워치(5)] 한자 몇자 알아야 중국어 능통할까

글로벌이코노믹

[차이나워치(5)] 한자 몇자 알아야 중국어 능통할까

중국인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한자는 약 3500자
[글로벌이코노믹 김길수 기자] 중국어가 어렵다고 하는 이유 중에는 셀 수조차 없는 한자 수와 거기에 더해서 성조에 따른 발음, 간체와 번체까지 구분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약간의 오해와 편견만 벗어던지면 중국어가 조금은 쉽게 여겨질 수 있는 방법이 있다.

'가장 환영받는 자전' '최고 베스트셀러' 두 가지로 기네스 세계기록을 수립한 신화츠뎬(新华字典).이미지 확대보기
'가장 환영받는 자전' '최고 베스트셀러' 두 가지로 기네스 세계기록을 수립한 신화츠뎬(新华字典).

중국 한자 수에 대한 정확한 통계는 없다. 최초의 현대 중국어 사전으로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신화츠뎬(新华字典)'에는 약 1만1000자가 수록되어 있으며, 1994년 쓰촨사전출판사(四川辞书出版社)의 편집장으로 일하던 렁위룽(冷玉龙)이 출간한 '중화쯔하이(中华字海)'에는 8만5568자의 방대한 한자가 기록되어 있다.

중국어를 어렵다고 생각하는 많은 학생들은 바로 이 두 사전에 의해 지레 겁을 먹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과연 저 많은 단어를 암기해야만 중국어에 능통할 수 있을까". 정답은 당연히 "아니다"이다.

중국에 정식으로 등록된 한자는 약 9만1000여 자. 역사기록에 남은 한자와 비공식 한자까지 포함한다면 사실 그 수는 헤아릴 수가 없으며 한자 생성의 원리에 따라 아직도 새로운 한자가 만들어지고 있다. 이를 모두 암기하는 사람이 있다면, 아마 그는 세계 역사에 최초로 기록될 '퍼펙트 한자 사용자'가 될 것이다.

하지만 다행인 것은 일상생활에서 중국인들이 자주 사용하는 한자는 그리 많지 않다는 사실이다. 대다수의 중국인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한자는 3500자 정도에 불과하며 그것도 2분류로 나눠서 진짜 자주 쓰는 한자 2500자와 덜 자주 쓰는 한자 1000자로 나눌 수 있다.

여기에는 천자문을 통해 한국인도 보편적으로 알고있는 '一二三四, 月火水木, 金李朴, 甲乙丙丁' 등 기초적인 한자가 모두 포함돼 있어 사실 이를 제외하면 1500자 정도로 압축할 수 있다. 실제 중국인들 또한 일생동안 대부분 2500~3500자의 한자밖에 익히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상생활을 통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어들을 모아보는 것만으로도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한자가 그리 많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직장과 관련한 전문용어만 조금씩 익혀도 중국어에 어느 정도 자신감이 붙을 수 있다. 어려운 중국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한자 수가 아니라 자신감을 극복하는 것이 지름길이다.

김길수 기자 gskim@g-enews.com